647→709...화재로 중단된 정부시스템 더 많았다

이용규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9일 오전 현재 전체 복구율 27.2%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0차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photo 뉴스1


지난 9월 26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시스템이 당초 집계된 647개가 아닌 709개였던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을 겸하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9일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내부 관리시스템인 '엔탑스' 복구로 전체 장애 시스템 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오늘 오전 6시 기준 전체 709개 중 193개 시스템이 복구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른 전체 복구율은 27.2%다. 당초 행정안전부는 화재로 가동이 중단된 시스템은 총 647개라고 밝힌 바 있었다. 연휴 기간 중 문화체육관광부 내부 업무포털, 관세청 업무지원 프로그램 등 54개 시스템이 추가로 정상화됐고, 온나라문서시스템·1365기부포털 등도 재가동됐다.

윤호중 장관은 "8 전산실은 분진 제거가 완료돼 11일부터 전산실 재가동이 가능하다"며 "7·7-1 전산실은 대구센터 이전을 우선 검토했지만, 대전센터 내 공간 활용해 신속한 복구가 가능할 경우 대전센터 복구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7, 7-1, 8 전산실은 모두 화재가 났던 대전 본원 5층에 있는데, 전체 행정정보 시스템의 절반이 넘는 330개가 집중돼 있다. 7 전산실과 7-1 전산실은 4층의 5, 6 전산실과 연계된 시스템이 많아 복구가 더딘 것으로 알려졌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