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우정, '명태균 수사'때 민정수석과 비화폰 통화'

권아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지난 3월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심우정 검찰총장이 출근길에 취재진과 만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photo 조선일보 DB


심우정 검찰총장이 지난해 10월 김주현 전 대통령실 민정수석과 비화폰으로 통화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대검찰청은 "검찰 사건과 관련해 통화한 사실은 없다"고 설명했다.

한 언론은 16일 심 총장이 지난해 10월 10~11일 김 전 수석과 두 차례 통화한 사실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를 두고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이 제기되던 시기와 겹친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같은 달 17일에는 서울중앙지검이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을 무혐의 처분하기도 했다.

대검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검찰총장 취임 초기에 민정수석으로부터 인사차 비화폰으로 연락이 와서 검찰 정책과 행정에 관한 통화를 한 것으로 기억한다"면서 "부재중 통화에 응답한 것이 있었을 수는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부 언론에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사건 및 공천개입 의혹 사건과의 관련성 의혹을 제기하였으나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대검은 "공천개입 의혹 사건은 당시 언론 보도가 되고 있었으나, 이와 관련해 통화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검찰총장은 창원지검 명태균 수사팀에 2024년 10월 17일 평검사 2명을 충원하고 11월 5일 차장검사, 부장검사 등 4명을 더 충원하는 등 수사팀을 강화해 수사를 진행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이어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사건은 검찰총장의 지휘권이 배제돼 있는 사건이었으므로 관련 논의를 진행할 게재가 없었다"면서 "서울중앙지검은 지난해 10월 17일 도이치모터스 사건을 무혐의 결정했고 검찰총장은 당일 중앙지검 브리핑 직전 중앙지검장으로부터 수사결과를 보고받았다"고 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