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 탄소세 좌초…IMO 합의 1년 연기 [ESG 뉴스 5]

이승균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내외 핵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뉴스를 선별해 전달합니다.[한경ESG] ESG 뉴스 5

일본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의 물류센터에서 해외로 수출될 차량들이 선적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선박 탄소세 좌초…IMO 합의 1년 연기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에서 다수국이 잠정 합의했던 ‘선박 탄소세’ 채택이 1년 연기됐다. 18일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미국이 선박 탄소부과를 “글로벌 그린 스캠(녹색 사기) 세금”이라며 강경 반대했고 사우디아라비아가 토론 연기 결의안을 제출하면서 표 대결 끝에 연기가 결정됐다.

57개국 찬성, 49개국 반대, 21개국 기권으로 통과됐으며 그리스와 키프로스가 기권해 유럽연합(EU) 단일표가 깨졌다. 탄소세 안은 5000톤 이상 선박에 탄소가격을 부과해 2030년부터 연간 150억달러(21조원) 재원을 조성하는 내용이었다. 한편 이번 연기가 다음달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논의를 더 어렵게 만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영국 ‘녹색 일자리' 40만 개 만든다

에드 밀리밴드 영국 에너지장관이 향후 5년간 40만 개의 녹색 일자리를 만드는 국가계획을 발표했다. 19일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화석연료 산업 종사자, 청년 구직자, 실업자, 군 출신, 전과자까지 전환 교육을 확대하고, 공공보조금·조달기업에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요구할 예정이다.

배관, 설비, 전기, 용접 등 31개 기술직을 우선 육성하며, 신설 기술대학과 지방 시범사업에 250만파운드(47억원)를 추가 지원하고, 영국·스코틀랜드 정부가 석유·가스 인력 재교육에 최대 2000만파운드(380억원)를 투입한다. 풍력·원전·전력망 분야 평균 연봉은 5만파운드(9000만원)로, 영국 평균 3만7000파운드(6600만원)를 웃돈다.

블랙록 GIP·엑슨 ‘탄소 측정’ 연합 결성

블랙록의 글로벌인프라파트너스(GIP), 엑슨모빌, 산탄데르, BASF, EY 등이 ‘탄소 측정(Carbon Measures)’ 연합을 꾸려 제품·거래 단위로 배출을 추적하는 장부기반 모델을 개발한다고 20일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공급망 단계별로 탄소를 귀속시켜 이중계산을 최소화하고, 제품별 탄소집약도 표준을 만들어 저탄소 생산을 투자로 보상한다는 구상이다. 모델 개발에 2년, 상용 확산까지 5~7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전력·연료·철강·콘크리트·화학 등 핵심 산업 표준 제정과 정책 제언도 병행할 예정이다.

중국, 5년 내 풍력 산업 두 배로 키운다

골드윈드, 밍양 등 중국 풍력기업들이 향후 5년간 연 120GW 설치를 정부에 제안했다. 이를 통해 2030년 누적 1300GW, 2035년 최소 2000GW를 달성한다는 로드맵으로, 지난해 말 520GW에서 2배 이상 확대하는 수준이다. 2024년 80GW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데 이어 2025년 94GW 신규 설치가 전망되며, 2030년까지 연 15기가와트의 해상풍력도 병행 설치할 계획이다.

글로벌 보건원조 15년 내 최저…WHO 추가 구조조정

트럼프 행정부의 세계보건기구(WHO) 탈퇴와 보건원조 축소에 유럽 다수국의 감액까지 겹치며 글로벌 보건자금이 팬데믹 반등 이후 급감했다고 미국 정치 전문지 폴리티코가 19일 보도했다. WHO는 2개년도 예산 20% 삭감과 본부·현장 인력 감축에 착수했으며, 백신연합 가비(Gavi)는 차기 5년 재원 90억달러(12조원)를 확보했지만 목표에 미달해 추가 구조조정을 예고했다. 미국의 WHO 연간 분담금 6억4000만달러(약 9000억원) 중단과 대외원조 재편은 감염병 대응 공백을 키웠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