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과 명태균 공천개입, 통일교 청탁·뇌물 수수 의혹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된 김건희 씨(파면된 전직 대통령 윤석열의 아내)가 2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첫 재판에 출석하고 있다. |
ⓒ 사진공동취재단 |
김건희씨 공천 개입 의혹의 핵심 관계자 명태균씨가 윤석열씨 대선 출마를 돕기 위해 김씨와 접촉을 늘려가던 초창기, 김씨로부터 "(윤씨와) 정치 공동체이고 (권한도) 5 대 5"라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법정 진술했다. 이 발언은 김씨가 건강상 이유로 먼저 퇴정한 가운데 나왔다.
'선거 기획자'로서 김건희씨와 만난 명태균씨가 수행한 업무를 윤석열씨와 김씨 중 누구에게 보고할지 묻자 김씨가 직접 이 같이 답했다는 건데, 이후 명씨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 후 공천권 역시 김씨와 5:5로 나뉜다고 받아들였다.
명태균씨는 22일 오후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27부(우인성 재판장) 심리로 열린 김건희씨의 세 번째 공판기일에 참석해, 특검 쪽으로부터 "윤석열과 피고인 김건희가 지분 5 대 5의 정치적 공동체였다는 발언을 한 사실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앞서 명씨는 지난 8월 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인사권, 공천권을 각각 지분을 50대 50으로 똑같이 나누기로 약속하고 대선을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명씨는 이 이야기를 "2021년 7월 초쯤, (김건희씨와) 3~4번쯤 만났을 때 김씨에게 직접 들었다"고 증언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컨트롤을 할 수 있고, 이준석은 어린 사람이라 컨트롤이 되는데 윤씨는 검찰총장까지 지낸 인물인데 어떻게 컨트롤할 수 있을지 내가 (김씨에게) 물었다. (중략) (김씨는) 경선은 '패밀리 비즈니스'라 정치적 공동체라고 했다. (중략) 모든 게 5 대 5라고 했다. 아무 권한이 없다면 왜 김건희 여사와 일을 하겠나."
5 대 5 발언을 토대로 윤씨가 대통령에 당선된 후 김씨가 공천에도 관여할 걸로 추측됐다는 게 명씨 이야기다. 그는 "김씨가 공천에 관여할 것이라고 했느냐"는 특검 쪽 질문에 "그런 얘기는 안 했다"고 답했다. 다만 명씨는 "내가 의사 결정을 어떻게 해야 할지, 누가 사장인지 알기 위해 물었을 때 김씨가 '반반'이라고 했고 나도 그렇게 알고 있었다"고 진술했다.
명태균 "김영선 공천 지원, 대가성 없었다"
한편 명씨는 지난 2022년 6월 국회의원 보궐선거를 앞두고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경남 창원 의창 지역구에서 공천을 받도록 김씨, 윤씨와 연락한 정황의 특검 자료를 보고 "대가성이 없었다"고 강력 부인했다. 김 전 의원의 "정치 이념"이 본인 가치관과 일치해 선심성으로 그를 도왔을 뿐이라는 주장이다.
특검은 이날 명씨가 지난 2022년 5월 김 전 의원의 회계책임자였던 강혜경씨와 통화에서 "오늘 여사님 전화왔는데 내 고마움 때문에, 김영선 걱정하지 말라고. 내보고 고맙다고 자기 선물이래. 하여튼 입 조심해야 돼요. 알면 난리 뒤비지뿐다"라고 하는 음성을 공개했다. 하지만 명씨는 이 발언을 "강씨를 달래기 위한 너스레"이자 "허풍이었다"고 진술했다.
특검 쪽이 "강씨를 달래야 할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자 명씨는 "김 전 의원 사무실에 사람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특검쪽이 다시 "그럼 김 전 의원은 측은지심으로 도와준 것이냐"고 묻자 "정치인들을 만나면 정치 철학을 묻는데, '당신의 정치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답한 유일한 정치인이었다"고 답했다.
그런데 명씨는 지난 2022년 5월 9일 김 전 의원이 출마할 지역구에 국힘이 경선을 붙이려 하자, 윤씨에게 항의성 문자를 보내고 이후 통화에서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는데 말이 많네 당에서"라는 이야기를 듣는다. 명씨는 당시 연락 역시 "공정과 상식에 반해 너무 화가 나 문자를 보냈을 뿐 윤씨가 당 내에서 무엇을 했는지는 알 수 없었다"고 말했다. 특검이 "경선을 하는 게 오히려 공정과 상식에 부합하는 것 아니냐"고 묻자 "대선기여도가 국민의힘의 공천 룰이었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