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망할 경우 빚을..." 오세훈에게 날아든 '한강버스' 책임론

유성호 기자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오마이포토] 오세훈 ‘한강버스’ 책임론 제기한 전용기 “한강버스 손실은 시민 몫” 
ⓒ 유성호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을 상대로 서울시가 추진 중인 한강버스 사업의 재정 구조와 책임 문제에 대해 질의했다.

전용기 의원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한강버스 사업 관련해 은행 대출 500억 원을 받는 과정에서 '컴포트 레터(comfort letter)'를 발급한 것을 언급하며 "한강 버스가 망했을 경우에 빚을 갚아주겠다고 한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서울시와 협약을 체결해 수익이 나지 않으면 지원할 수 있도록 돼 있다"라며 "결국 1년 뒤부터 적자가 나면 서울시 세금으로 갚아야 한다. 민간회사가 아니라 사실상 서울시 회사이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서울시는 한강 버스 사업을 대중교통이라고 우기지만, 손실 보전을 위해 그렇게 분류한 것 아니냐"라며 "결국 한강버스의 손실은 시민의 몫이 된다. 세금으로 빚보증까지 서주고 손실 보증까지 해줬기 때문이다"라고 비판했다.

또한 그는 과거 수상택시 사업의 실패를 거론하며 "그때처럼 혈세 손실이 발생하면 시민들이 소송을 제기할 수 있고, 그 책임은 시장이 져야 한다"라고 경고했다.

▲ 오세훈 ‘한강버스’ 책임론 제기한 전용기 “한강버스 손실은 시민 몫” ⓒ 유성호


이에 오세훈 서울시장은 "최악의 상황을 전제로 한 가정이다"라며 "한강버스는 전혀 적자가 날 수 있는 사업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오 시장은 "9일간 운행 동안 2만7천 명이 이용했다. 예상보다 승선율이 훨씬 높았다"라며 "운항 수익뿐 아니라 선착장과 광고 등 부대수입이 상당하다. 빠른 시일 내 흑자 전환이 가능하다는 자신감을 얻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한강은 일부 지역 주민들만 즐기고 있다"라며 "강북이나 서남권 시민들도 저렴한 비용으로 한강을 만끽할 수 있는 정책이다"라고 강조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에 대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한강 수상 버스에 대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 유성호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