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 등 중국 순방 대표단과 함께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 내에 있는 김구 임시정부 주석 흉상 앞에서 헌화와 묵념을 하고 있다. |
| ⓒ 경기도 |
"'국민이 행복한 민주공화국' 임시정부의 꺾이지 않은 熱望(열망)을 1,420만 경기도가 이어가겠습니다."
중국을 순방 중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3일 충칭(重慶)에 있는 대한민국 마지막 임시정부 청사를 방문해 방명록에 적은 글이다. 충칭 임시정부 청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로는 중국 내 최대 규모였으며, 마침내 항일 독립전쟁에서의 승리를 맞이한 상징적 공간이다.
특히 김동연 지사는 충칭 청사에서 '독립공채(獨立公債)', '군무총장 노백린(盧伯麟)' 명의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 포고 1호' 등 이제는 역사적 유산이 된 여러 사료(史料)를 직접 눈으로 확인했다. 유리관 속에 보존된 '독립공채'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한 최초의 채권이다. '포고 1호'는 항일 독립전쟁에 참여할 것을 국민에게 호소하는 내용이다. '대한민국 독립운동사의 법통'과 마주한 것이다.
김동연 지사는 "이곳에서 지금 대한민국 헌법의 뿌리가 착근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첫 헌법인 '대한민국 임시헌장'에 명기된 보통선거, 국민주권, 삼권분립 등을 일일이 열거했다. 김 지사는 "임시정부의 정신이 지금 대한민국에 면면히 흐르고 있다"면서 "그 정신을 이어받겠다고 다시 한번 다짐한다"고 말했다.
이날 김동연 지사는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 등 중국 순방 대표단과 함께 김구 임시정부 주석 흉상 앞에서 헌화와 묵념을 한 뒤 역사관과 전시실 등을 돌아봤다. 이어 김 지사는 청사 내에서 독립유공자 후손들과 간담회를 했다.
| ▲ 나누고 있다. |
| ⓒ 경기도 |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3일 오전 중국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에서 독립운동가 후손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
| ⓒ 경기도 |
김동연 지사가 만난 독립유공자 후손들
간담회 자리에는 이달(李達) 선생(건국훈장 독립장)의 딸 이소심씨, 유진동(劉振東) 선생(애국장)의 아들 유수동씨, 김동진(金東鎭) 선생(애족장)의 딸 김연령씨가 함께했다.
이달(1910~1942) 선생은 1920년대 북만주에서 결성된 독립단체 신민부의 국내 공작원으로 활동하며, 김좌진 장군의 비밀지령을 국내 주요 인사들에게 전달해 온 인물이다. 김좌진 장군이 암살된 이후 조선의용대와 한국광복군에서 독립운동을 했다.
유진동(1908~1961) 선생은 김구 주석의 주치의였으며 흥사단, 한국독립당원, 민족혁명당원 등으로 활약했다.
김동진(1920~1982) 선생은 임시정부 판공실, 생계부 등에서 비서를 맡아 임시정부 살림을 담당했고, 광복군에서는 관병소비합작사 사원으로 활동했다.
특히 충칭 임시정부 청사는 이달 선생의 딸 이소심씨가 아니었다면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질 뻔했다. 해방 이후 임시정부 건물은 여관, 학교, 주택 등으로 쓰이다 1990년대 초 충칭 도시 재개발 계획으로 철거 위기에 놓였다. 그러나 이소심씨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노력한 끝에 한국과 중국 간 복원 협정을 끌어냈고, 청사가 역사적 가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됐다. 한중 우호 관계를 상징하는 지금의 임시정부 청사는 1995년 원형대로 복원을 완료했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3일 오전 중국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에서 독립운동가 후손과 간담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 ⓒ 경기도 |
독립유공자 후손들을 위한 경기도 사업은?
강민석 경기도 대변인에 따르면, 김동연 지사는 이날 간담회에서 "경기도가 독립유공자 후손들을 잘 모시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참석자들에게 경기도의 정책을 설명했다.
경기도는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가 80인을 선정하고, 경기도 독립기념관 건립을 준비 중이다. 또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념사업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독립유공자 후손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2,000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도 펼치고 있다. 해외에 거주하는 독립유공자 후손들에게는 세계 곳곳에 있는 경기비즈니스센터(GBC)가 현지에서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김 지사의 설명을 들은 독립유공자 후손들은 "굉장히 감사하다"고 사의를 표했다. 김 지사가 "추가로 원하는 것은 없으시냐"고 물었지만, 이구동성으로 "이미 너무 잘해주셔서 없다"고 답했다.
김동연 지사는 "역사를 잃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면서 "자랑스러운 독립운동을 포함한 선조들의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대한민국에 미래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가 안중근 의사의 유묵 두 점('獨立', '長歎一聲 先弔日本')을 직접 손으로 써서 뜻을 설명하고, 이를 가져오기 위한 경기도의 노력을 설명하자, 독립유공자 후손들은 환한 미소로 공감의 뜻을 나타냈다. 김 지사는 "역사를 제대로 세우기 위해, 선조들의 열망을 마음에 새기겠다"고 거듭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