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매일 3000장 매진된 경복궁 야간 관람… 표 없으면 한복 입으세요

이진수 기자
입력
수정 2025.09.15. 오후 3:23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진짜임? 해볼게요] 9월 28일까지 진행… 국내외 관광객에게 ‘야경 명소’로 자리매김

‘진짜임? 해볼게요’는 기자가 요즘 화제인 현상, 공간, 먹거리부터 트렌드까지 직접 경험하고 진짜인지 확인하는 리얼 체험기다.



경복궁의 야경을 즐기는 사람들. 경복궁 야간 관람 프로그램은 9월 28일까지 계속된다. 홍태식
“이번 한국 여행에서 최고의 순간 중 하나가 될 것 같아요.”

9월 3일 오후 7시, 경복궁 경회루 앞에서 만난 폴란드 관광객 안야와 마테오 부부(29)가 한 말이다. 이날은 ‘2025년 하반기 경복궁 야간 관람’이 시작된 날이다. 이들 부부는 “소셜미디어(SNS)에서 한국 여행 중 해볼 만한 이벤트를 찾다가 이 프로그램 정보를 접했다”라며 “경복궁에 와서 25분간 줄을 서 입장권을 구매했다”라고 전했다.

평일 저녁 해가 진 고궁 앞에 내외국인 관광객이 길게 줄지어 서 있는 풍경은 이제 익숙해졌다. 경복궁을 포함한 서울의 고궁은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야경 명소’로 자리 잡았고, 특히 외국인의 발길을 이끄는 핵심 콘텐츠로 부상하고 있다. 평소 오후 6시 반이면 문을 닫는 경복궁을 밤에도 거닐 수 있게 해주는 이 행사는 2010년 서울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작됐다. 이후 매년 봄·가을마다 ‘피케팅(피 튀기는 티케팅)’이 벌어질 만큼 주목받아왔다. 올가을엔 9월 28일까지 진행되며, 입장권을 구매하면 오후 7시부터 9시 30분까지 고궁의 정취를 즐길 수 있다.

경복궁 야간 관람권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이 매표소 앞에 줄지어 서 있다. 홍태식
경회루, 모두의 사진 스폿
기자가 방문한 야간 관람 첫날 경복궁은 콘서트장을 방불케 했다. 한 손에 선풍기, 다른 손에는 카메라를 든 관람객이 가득했다. 매표소 앞도 인파로 붐볐다. 오후 6시 51분 기준 30분 이상 줄을 서야 표를 구매할 수 있을 정도였다.

야간 관람 입장권은 하루 최대 3300장씩 판매한다. 이 중 3000장은 예매자용, 300장은 외국인 대상 현장 판매용이다. 입장권 가격은 3000원이며, 예매는 NOL 인터파크에서 인당 최대 4매까지 가능하다. 단 9월 5일 기준 모든 회차의 예매표가 매진된 상태다. 만 6세 이하, 만 65세 이상, 한복 착용자, 국가유공자, 장애인 등은 표가 없어도 무료 관람이 가능하다. 표를 구하지 못했다면 한복을 입고 방문하는 게 한 방법이다. 또 NOL 인터파크에 간헐적으로 취소 표가 나오기도 하니 관심이 있으면 수시로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다.

야간 관람의 메인 포인트는 단연 ‘경회루’였다. 조선 왕실의 각종 연회가 열렸던 이곳은 호수와 어우러지는 풍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이날 야간 개장 후 불과 6분 만에 사람들이 경회루 쪽으로 쏟아져 들어왔다. 관람객 사이에서는 “하나, 둘, 셋! 사진 찍어드릴까요?” “여기 서봐요” 같은 말이 쉴 새 없이 오갔다. 현장 관계자는 “‘이게 뭐 하는 건물인가요?’ ‘포토존은 어디예요?’ 같은 질문을 많이 받는다”라고 말했다.

경복궁 야간 관람을 하고 있는 폴란드 관광객 안야 씨와 마테오 씨 부부. 홍태식
한복을 입고 경복궁을 찾은 초등학생 이도영, 민선하 양. 홍태식
경기 용인에서 온 초등학생 이도영, 민선하 양(11)은 이날 야간 관람을 위해 학교에 체험학습 신청서를 내고 방문했다. “왕이 살던 곳을 직접 보니까 신기해요”라며 환하게 웃었다. 이들 부모는 “아이와 함께 오기 참 좋은 곳”이라며 “온 김에 고궁 박물관까지 같이 둘러봤다”라고 말했다. 직장인 커플 정 모 씨(28)와 신 모 씨(32)는 “밤에 조명이 켜진 고궁은 낮에 본 것과는 전혀 다른 느낌이다. 경회루 야경을 기대하고 왔는데 기대보다 훨씬 예쁘다”라고 말했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경복궁 기본 관람 코스는 대략 흥례문, 근정전, 수정전, 교태전, 강녕전, 사정전, 경회루 순이다. 이들 공간을 적당히 둘러보고 사진까지 찍으려면 1시간 이상은 걸린다. 관람 시간은 넉넉히 1시간 30분 정도로 계획하면 좋을 듯하다. ‘멋진 사진’을 원한다면 경회루부터 역순으로 관람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해가 지고 조명이 켜지면 빛이 번져 경회루를 사진에 제대로 담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역사박물관 옥상에서 즐기는 경복궁 야경
조선시대 왕이 대신들과 국가 중요 정책에 대해 토론하는 장소였던 사정전(思政殿)을 관람객들이 둘러보고 있다. 홍태식
경복궁 야간 관람 기간에는 알찬 문화 행사도 열린다. 매주 금·토·일요일에는 조선시대 왕과 왕비, 왕세자 등이 전통 복식을 갖추고 궁궐을 거니는 ‘왕가의 산책’ 퍼포먼스가 펼쳐진다. 9월 11일에는 강녕전에서 관현맹인전통예술단의 특별공연, 17일~20일은 수정전에서 국립국악원의 궁중음악 무대가 예정돼 있다. 상반기 야간 관람에서 큰 호응을 얻은 여민락, 수룡음, 대취타 등을 선보일 계획이다.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옥상정원은 경복궁을 내려다볼 수 있는 또 다른 야경 사진 명소다. 이곳은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에 오후 9시까지 개방하니 코스로 묶어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궁능유적본부 경복궁 관리소에 따르면 지난해 경복궁을 찾은 관람객은 29만5396명으로, 입장료 수입은 4억8258만3000원이었다. 2010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누적 관람 인원은 252만5304명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