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인기 많은 월배당 ETF, 원금 훼손 위험 있다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성일의 롤링머니] 분배금 지급하면 주가 떨어지는 분배락… 세금만큼 손해 보는 구조

GETTYIMAGES
최근 국내 증시에서 ‘월배당 ETF(상장지수펀드)’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매달 일정 현금이 들어온다는 점에서 연금이나 예금처럼 안정감을 준다고 생각하는 투자자가 많다. 하지만 여기에는 함정이 있다. 많은 투자자가 빠지기 쉬운 ‘배당 착시’의 진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주식에서 나오는 배당금처럼 ETF에서 나오는 현금은 ‘분배금’이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ETF 분배금은 주식 배당, 채권 이자, 부동산 임대료, 옵션 프리미엄 등에서 발생한 수익을 모아 투자자에게 나눠 주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ETF 분배금은 ETF 가격에 모두 반영돼 있다가 분배 시기가 되면 현금으로 투자자들에게 지급된다. 

분배금 지급은 조삼모사
동일 지수를 추종하는 2가지 ETF 사례로 이해해보자. A·B ETF 한 주의 순자산가치는 11만 원이고, 그 안에 포함된 주식가치가 10만 원, 분배금이 1만 원이라고 가정하자(단, ETF의 순자산가치(NAV)와 가격은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괴리율이 발생하나, 쉽게 이해하고자 NAV를 ETF 가격과 같은 수준이라고 봐도 무리가 없다). 

만약 A ETF가 보유한 분배금 1만 원을 전부 분배하면 다음 날 A ETF 가격은 10만 원으로 떨어진다. 이때 분배금을 전일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을 분배율이라고 한다. A의 분배율은 9.09%(=1÷11)로, 5000원을 분배금으로 지급한 B ETF의 분배율(4.55%=0.5÷11)보다 높게 나온다. 이 경우 A가 B보다 분배금을 많이 주고 분배율도 높아 더 좋은 상품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니 주의해야 한다. 

ETF가 분배를 하면 순자산가치에서 분배금만큼 가격 하락이 발생한다. 이를 ‘분배락’이라고 한다. A ETF는 1만 원을 분배했기 때문에 ETF 가격이 11만 원에서 10만 원으로 하락한다. A의 분배락은 9.09%다. B ETF는 분배락이 4.55%가 된다. 이론적으로 분배율과 분배락은 같다. A는 B에 비해 분배를 많이 하다 보니 가격도 많이 하락했다. 조삼모사 같은 것이다. 분배금이 현금으로 나왔을 뿐 총자산은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ETF에서 분배금을 받는 순간 공짜 돈이 생긴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내 자산의 한 부분이 현금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은행 예금처럼 원금은 놔두고 이자만 받는 것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배당 착시는 투자자가 특정 투자상품의 ‘배당률’만 보고 투자 결정을 내리면서 실제 수익률이나 위험을 간과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배당은 새로 생긴 돈이 아니라, 내 투자금의 일부가 현금화돼 투자자산에서 빠진 것일 뿐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현금이 들어왔으니 이익”이라고 착각한다. 

투자자들이 배당 착시에 빠지는 이유는 세 가지다. 첫째, 현금의 심리적 무게감 때문이다. 사람은 손에 쥔 현금을 긍정적으로 느끼고 매달 월세를 받는 듯한 안정감을 경험한다. 둘째, 세후수익률을 간과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배당금이 1만 원이라면 배당소득세(15.4%)가 빠져 실수령액은 8460원이다. 주가는 1만 원이 빠졌으니 결과적으로 세금만큼 손해를 보는 구조다. 셋째, 배당을 기업 성장 신호로 오해하기 때문이다. 기업이 배당을 했다고 반드시 성장성이 높다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성장이 정체된 기업이 주주의 환심을 사고자 배당을 늘리는 경우도 많다. 

배당 착시의 대표 사례로 테슬라 주가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TSLY(YieldMax TSLA Option Income Strategy ETF)를 들 수 있다. 이 ETF는 매달 옵션 매도 전략을 통해 분배금을 지급하며, 과거 연배당률이 70~140%에 달한다(그래프1 참조). 겉보기에는 엄청난 기회 같지만 내용을 뜯어보면 사정은 다르다. 2023년 1월 3일 TSLY는 주당 1.9972달러를 배당했고, 올해 8월 8일에는 0.3005달러로 줄었다(그래프2 참조). 분배율이 그렇게 높은데 분배금이 75%나 감소한 이유는 주가가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테슬라 주가는 220.63% 상승했지만 TSLY 주가는 계속되는 분배금 지급으로 오히려 69.99% 하락했다. 

배당률보다 중요한 총수익률
배당률만 보고 투자하면 여러 문제가 생긴다. 상품의 본질적 특성을 놓친 채 매달 현금이 들어온다는 심리적 안정감에 취해 수익률은 낮고 위험은 높은 상품을 오래 보유하게 된다. 또 분배금이 많아 보여도 원금이 줄어들고 배당금 규모마저 감소한다면 장기적으로 불리하다.

모든 배당 투자가 나쁘다는 뜻은 아니다. 배당 투자는 여전히 훌륭한 전략이 될 수 있다. 다만 주가 상승과 배당수익을 합해서 보는 총수익률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고, 세금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배당금이 꾸준히 유지될 수 있는지, 원금이 훼손되고 있지 않은지 여부와 함께 변동성이나 최대낙폭 같은 위험 지표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생활비를 마련하려고 ETF에서 나오는 분배금에 의존할 필요는 없다. 투자자가 스스로 보유한 자산 중 일부를 매도해 현금을 만드는 ‘자가배당’ 방식도 있다. 필요한 생활비만큼 자산을 일부 매도하면 불필요하게 고위험 배당상품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 TSLY를 사지 않고 TSLA(테슬라) 주식을 사고, 필요한 만큼 매도했다면 수익이 2.9배 높았을 것이다. 

월배당 ETF는 매달 현금이 들어온다는 점에서 매력적이지만 그것이 곧 이익은 아니다. 배당 착시에 노출되면 원금 훼손과 배당금 축소라는 함정에 빠질 수 있다. 투자에서 중요한 것은 배당률이 아니라, 총수익률과 지속가능성이다. 배당의 환상에서 한 발짝 물러나 총수익률을 따져보는 습관, 그것이 진짜 현명한 투자자의 길일 테다. 

*유튜브와 포털에서 각각 ‘매거진동아’와 ‘투벤저스’를 검색해 팔로잉하시면 기사 외에도 동영상 등 다채로운 투자 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