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가 선택한 아날로그 감성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상하의 이게 뭐Z?] 대한극장에서 관객이 참여하는 공연 체험하기

사진작가 로버트 폴리도리는 “디지털은 잊기 위해 만들어졌고, 아날로그는 기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디지털에 익숙한 세대일수록 의외로 아날로그를 찾는다. 최근 Z세대 사이에서도 다이어리, 필사, 일기장, 필름카메라 등 아날로그 감성 가득한 트렌드가 회자되고 있다. 이번 주 Z세대가 선택한 아날로그 감성을 살펴보자.

#자기 전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
최근 X(옛 트위터)에 사용자 ‘머머(@murrmur1)’가 자기 전에 쓰는 일기 양식과 이미지를 공개해 화제가 됐다. 카테고리는 오늘 기분과 이유, 오늘 나만을 위해 한 일, 내일 아침 느끼고 싶은 기분 등이다. 일상 기록과 달리 자신의 감정과 기분에 집중하는 일기다. 자기 성찰과 마음 챙김에 관심 많은 Z세대의 취향을 저격했다. 하루를 기억할 뿐 아니라, 그날의 이야기를 돌아보고 스스로와 대화를 나누는 계기로 활용하기에 좋다.

머머는 절판된 일기장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한다. 비슷한 양식은 네이버 블로그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Z세대는 블로그 챌린지를 거치면서 활자로 일상과 감정을 드러내는 데 익숙해졌다. 자신의 깊은 감정을 알고 싶은 사람이라면 자기 전 가장 솔직한 마음으로 일기를 써보면 어떨까.

8월 21일 개막한 이머시브 공연 ‘슬립 노 모어’. 인터파크 홈페이지 캡처 
#팝업 대신 새로운 오프라인 공간
Z세대 사이에서 입소문이 난 유기묘 쉼터 ‘고양이역’. 인스타그램 ‘고양이역’ 계정 캡처 
입추가 지나고 선선해지자 오프라인 공간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같은 카페를 방문하는 것을 피하고 지루한 온라인 경험 대신 새로운 체험을 원하는 Z세대에게는 최적의 선택지다.

대표적인 곳이 충무로 대한극장이다. 8월 21일 이머시브(immersive) 공연 ‘슬립 노 모어(SLEEP NO MORE)’가 개막했다. 셰익스피어 ‘맥베스’를 누아르풍으로 재해석한 대사 없는 공연이다. 이머시브 공연은 무대 없이 관객들이 직접 공연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관객은 객석에 앉지 않고, 배우를 따라다니며 각자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재구성한다. 같은 공연이어도 본 사람에 따라 다른 이야기를 체험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이다. 여름 끝자락, 극중 매키탄호텔로 리모델링된 대한극장을 찾아보자.

인천 영흥도 고양이역도 X에서 화제를 모았다. 애니메이션 ‘이웃집 토토로’ 같은 숲길을 지나 입장하면 유기묘 100여 마리가 반긴다. 학대나 장애로 버려진 고양이들을 보호하는 공간으로, 입장료는 고양이들 생활비로 쓰인다. 일일 집사가 돼 고양이에게 밥을 챙겨 주고 놀아주는 따뜻한 하루. 소소한 돌봄은 누군가를 살리는 힘이자 스스로를 달래는 시간이기도 하다.

#멋진 어른이 된다는 건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따로 팔 만큼 인기가 많은 용가리 키링. 하림 공식몰 캡처 
Z세대에게 어른다움은 직업이나 성격이 아니라 자유에서 나온다. 먹고 싶은 만큼 제티를 타 마시거나, 튀김을 실컷 사 먹는 등 어렸을 때는 부모님 눈치를 보던 일들을 마음껏 할 수 있는 게 진짜 어른이라고 여긴다.

그래서일까. 추억을 불러내는 굿즈와 마케팅이 잇달아 주목받고 있다. 막걸리 브랜드 국순당은 만화 ‘아기공룡 둘리’에 나오는 고길동 캐릭터를 콘셉트로 CF를 만들어 화제가 됐다. 주니어네이버 게임에서 어린 Z세대들의 원조 아이돌이던 ‘아바타스타 슈’도 인스타그램을 시작했다. 게시 글을 보면 “실수가 무서운 나이가 됐다” “어른이 됐다” 등 코가 찡한 댓글이 많이 달렸다. 어린 시절 간식으로 많이 먹었던 용가리도 키링 패키지를 출시했다. 다섯 봉지를 사면 덤으로 주는 키링만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따로 팔 만큼 인기를 끌었다. 2월 이마트 행사에서 사은품으로 제공한 용가리 인형도 재조명받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용가리 멸종하지 마라”는 농담 섞인 반응까지 이어졌다. 

Z세대가 생각하는 멋진 어른이란 어린 시절의 소소한 바람을 마음껏 실현할 수 있는 사람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