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박진희씨 가디건도 결국 인도로 “쓰레기 수출에 마음이 무겁다”

박준용 기자
입력
수정 2025.09.17. 오후 5:06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특집]한겨레21 ‘헌 옷 추적기’ 동참 1년 인터뷰 “수거함에 넣는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
헌 옷의 행방을 알기 위해 배우 박진희씨의 옷을 기부받아 추적기를 달고 의류수거함에 넣었다. 이 옷은 인도 파니파트로 향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진희 제공


2024년 8월 한겨레21은 배우 박진희씨의 헌 옷을 기부받아 추적기를 달고 의류수거함에 넣었다. 버려진 옷이 어디에서 최후를 맞이하는지 확인하는 프로젝트를 위해서다. 1년이 지난 2025년 8월6일, 박씨의 카디건에 달린 추적기는 ‘헌 옷의 수도’라고 불리는 인도의 파니파트에서 신호를 보내오고 있다. 파니파트는 세계 각지에서 헌 옷을 모아 재활용하는 도시이지만, 실제로 많은 헌 옷은 폐기되거나 소각돼 그 지역을 황폐화한다. 박씨의 옷은 우리가 버린 헌 옷이 많은 오염을 유발한다는 걸 보여주는 한 사례가 됐다. 이 결과에 박씨는 “보이지 않는 쓰레기 수출”이라며 “마음이 무겁다”고 했다. 다음은 한겨레21과 박씨가 나눈 일문일답이다.

기부한 네 벌 중 한 벌은 인도 ‘쓰레기산’으로


—보내준 헌 옷에 추적기를 달아 1년간 추적한 결과, 네 벌 중 한 벌은 수출됐고 한 벌은 수출 대기 중이었습니다.(나머지 두 벌은 소재 불분명)

“제 옷이 결국 쓰레기가 되어 환경오염에 더해졌다니 많이 씁쓸했습니다. 누군가 다시 입어주면 좋겠다고 생각했지만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음을 확인했네요. 단순히 옷을 의류수거함에 넣는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건 아니라는 사실을 다시금 알게 됐습니다.”

—상의 한 벌은 인도 파니파트로 갔습니다.

“제 옷이 먼 나라로 가서 다시 쓰이기도 하고, 또 불에 타거나 폐기돼 오염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에 마음이 무겁습니다. 분명 ‘재활용’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지만 실제로는 또 다른 환경 부담을 떠넘기는 셈이니까요. 이는 개인만의 문제라기보다 전세계가 함께 고민해야 하는 구조적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이제는 단순히 ‘재활용되길 바란다’가 아니라, 애초에 쓰레기가 되지 않도록 소비를 줄이고, 오래 입고, 다시 활용하는 것이 답이라는 생각을 더 확실히 하게 했습니다.”

—헌 옷의 행방을 추적한 결과 상당수가 개발도상국으로 보내지고 있었습니다.

“안타깝지만 ‘보이지 않는 쓰레기 수출’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가 쓰지 않는 옷을 누군가 유용하게 쓸 거라 믿지만, 그 나라에서도 이미 의류 쓰레기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 환경문제는 어느 한쪽만의 몫이 아니기 때문에, 이 방식은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뒤 새롭게 느낀 점이 있나요.

“저는 평소에도 옷을 잘 사지 않고 오래 입는 편이지만, 이번 헌 옷 추적기를 통해 그 태도가 더 중요하다는 걸 느꼈습니다. ‘덜 사기, 안 사기’가 가장 큰 실천임을 다시 확인했어요. 특히나 아이들 키우면서 물려받아 입힌 옷이 정말 많은데요, 아이들이 너무 금방 커서 한 해 이상 입을 수 없는 옷들도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 옷은 깨끗이 입혔다가 물려주거나 중고거래를 활용하는 등 작은 실천이 결국 지구를 지키는 길이라는 생각이 더 강해졌습니다. 그리고 패스트패션이 주는 편리함과 유용함보다, 그 뒤에 남는 의류 쓰레기를 상기하고 그로 인해 고통받는 사람들과 동물, 오염되는 환경을 떠올리며 소비를 줄이는 것이 우리가 당장 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덜 사기, 안 사기’가 가장 큰 실천


—이번 경험으로 달라진 점이 있나요.

“몇 년 전 재활용센터를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가장 충격적이었던 건, 우리가 분리수거한다고 믿고 있던 많은 제품이 실제로는 재활용되지 않고 그냥 쓰레기가 된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재활용이 되려면 올바르게 분리배출돼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재활용이 아니라 그냥 쓰레기가 돼버립니다. 우리가 분리배출한 폐기물 중 실제로 재활용되는 비율이 약 30%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 최근 반복되는 폭염과 기후위기 속에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자리에서, 더 많은 사람과 환경문제를 이야기하고 알려야겠다고 다짐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