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교역국 약값 본격 조사 착수 임박”···고율 관세 카드 꺼내나

박은경 기자
입력
수정 2025.10.22. 오후 3:45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교역 상대국들의 의약품 가격 실태에 대해 추가 조사를 개시할 예정이며, 결과에 따라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도 제기됐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1974년 무역법 301조에 근거해 진행되며 미국보다 약값을 낮게 책정한 국가가 있는지를 점검하는 것이 목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다른 나라들은 미국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의약품을 구매하고 있다”며 불만을 표시해왔으며 가격을 동등 수준으로 맞추지 않으면 무역보복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그는 최근 체중 감량용 의약품 사례를 언급하며 “런던에서는 130달러에 살 수 있는 약이 뉴욕에서는 1300달러”라고 주장했다.

이번 조사가 본격화되면 백악관이 특정 의약품이나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 수 있게 되면서 한동안 잠잠했던 글로벌 무역 긴장이 재점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에도 제약사들에게 “전 세계 최저가로 미국에 공급하라”고 요구하며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결과를 각오하라”고 압박했다.

최근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는 일부 의약품 가격 인하에 합의했다.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릴리 역시 가격 정책과 관련해 백악관과 협의했다고 밝혔다.

FT는 백악관에 입장을 문의했으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