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풍 떠난 팔레스타인 가족 11명 탱크포에 몰살···“이스라엘 휴전협정 위반으로 38명 사망”

이영경 기자
입력
수정 2025.10.19. 오후 7:58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일가족 탄 차량, 실수로 이스라엘군 철수선 넘어
이스라엘군 철수 경계 ‘황색 선’ 표지판 없어
이스라엘 국방장관 뒤늦게 “지상에 표시하라”
가자지구 당국 “이스라엘 휴전 위반 47건”
18일 (현지시간) 이스라엘군 철수선(Yeilow Line) 넘어간 뒤 이스라엘군의 사격으로 사망한 팔레스타인인들의 시신이 알알리 병원으로 옮겨지자 조문객들이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AP연합뉴스


이스라엘군의 공격으로 가자지구에서 일가족 11명이 사망했다. 이는 지난 10일 발효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의 휴전 이후 가장 심각한 휴전 협정 위반 사례라고 가디언 등은 보도했다.

뉴욕타임스(NYT)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지난 17일(현지시간) 가자지구 북부 자이툰 마을에서 한 가족이 탄 자동차가 이스라엘군의 탱크포에 맞아 11명이 사망했다. 이들은 집으로 돌아가던 중 휴전 이후 이스라엘군이 철수한 지역의 경계인 ‘황색 선’(Yellow Line)을 넘었다는 이유로 공격을 받았다. 사망자 중에는 어린이 7명과 여성 3명이 포함됐다.

이스라엘군은 18일 “황색 선을 넘어 가자지구 북부에서 작전 중인 이스라엘군 부대에 접근하는 의심스러운 차량이 발견됐다”며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사격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황색 선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휴전 합의 이후 가자지구 내부에 설정된 군사경계선이다. 이스라엘군은 휴전 이후 가자지구에서 황색 선 경계 너머로 철수했지만 여전히 가자지구 영토 53%를 통제하고 있다.

가자지구 주민 모하마드 아부 샤반은 자신의 여동생 가족들이 차량에 타고 있었다며 “혼잡한 천막촌을 잠시 벗어나 소풍을 가려던 가족 12명이 함께 타고 있었다”며 차량에 타고 있던 이들이 길을 잃어 실수로 군사경계선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NYT에 말했다.

지난 10일 발효된 휴전 합의로 이스라엘군은 지도에 표시된 ‘황색 선’(Yellow Line) 너머로 철수했다. 이스라엘군은 여전히 가자지구 영토 53%를 통제하고 있다. 출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루스소셜 계정


NYT는 가자지구 주민 대부분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없으며, 지도도 불명확해서 군사지역 진입 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마무드 바살 가자지구 민방위대 대변인은 “그들은 이스라엘군이 언급한 가상의 경계선인 이른바 ‘황색 선’을 넘었다”며 “땅에 실제 표지판이 없기 때문에 이들은 황색 선을 구분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이날 철수선을 지상에 물리적으로 표시하라고 명령했다. 카츠 장관은 “하마스 테러리스트들과 가자지구 주민들에게 철수선을 위반하거나 넘으려는 시도는 사격에 직면할 것”을 경고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NYT는 이번 사건이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협정의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가자지구 공보국은 이스라엘이 휴전 협정 발효 이후 휴전을 47회 위반했으며, 팔레스타인인 38명이 사망하고 143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지난 14일에는 가자시티 인근 수자예아 지역에서 이스라엘군 공격으로 팔레스타인인 5명이 사망했다. 이스라엘군은 황색 선을 넘어 군대에 접근하는 이들에게 발포했다고 밝혔다.

18일(현지시간) 가자지구 남부 칸 유니스에서 가자지구에 남은 이스라엘 인질들의 시신을 수색 작업이 진행 중이다. AP연합뉴스


가자지구 공보국은 18일 성명을 내고 “이스라엘의 위반 행위에는 민간인에 대한 직접 총격, 고의적 포격 및 조준, 다수 민간인 체포가 포함됐다”며 “이는 전쟁이 종식되었다고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점령군의 침략 정책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어 “유엔과 휴전 합의 보장국들이 즉각 개입해 점령군이 지속적으로 자행하는 공격을 중단시키고, 비무장 민간인을 보호하도록 강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가자지구 대부분 지역에서 전투는 중단됐지만, 일부 지역에서 무력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지난 17일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에서 이스라엘군이 터널에서 나오는 무장세력을 공격했다고 밝혔다. 또 같은 날 라파시에서는 무장세력이 이스라엘군을 향해 총격을 가했으나 사상자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휴전 합의로 이스라엘은 가자지구로 구호품이 반입되는 주요 통로인 이집트 국경의 라파 검문소를 개방하기로 했지만,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하마스가 이스라엘 인질 시신을 전부 반환할 때까지 개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휴전 합의에 따라 하마스는 20명의 생존 인질을 석방하고 시신 28구를 반환하기로 했지만, 시신 수습에 시간이 걸리면서 현재까지 12구의 시신을 반환했다.

하마스 “무장해제 약속 못해”···미국 “팔 민간인 공격시 휴전 위반 간주” 엄포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과도기 동안 가자지구 치안 통제권을 유지할 것이며, 무장 해제에 대해서는 확답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하마스가 최근 가자시티에서 8명을 공개 처형하는 등 통제력 회복에 나선 가운데 미국 국무부는 “휴전 합의 위반”이라 경고하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하마스 정치국 위원 무함마드 나잘은 17일(현지시간) 공개된 로이터 통신과의...
https://www.khan.co.kr/article/202510191517001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