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기업의 청년 일자리 창출을 독려하며 "경제적 인센티브를 포함해 기업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고용에 나설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청년 일자리 창출이라는 절실한 과제 앞에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 나섰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 열린 삼성·SK·포스코·한화 등 주요 대기업과 협력사들이 참여한 민관 합동 채용박람회를 언급하며 "개최한 상생협력 채용박람회는 그 협력의 결실이자, 새로운 희망을 보여준 뜻깊은 자리다. 일자리 문제는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어렵다. 지난달 기업에 적극 동참을 요청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박람회에는 협력사 포함 160여 개 기업이 참여했다고 한다"며 "이러한 흐름이 중견기업까지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기업은 청년에게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청년은 기업의 혁신을 이끄는 '상생의 선순환 구조'가 이루어지는 사회, 청년이 자신의 노력으로 원하는 일터에서 일하고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받으며 더 나은 내일을 만드는 사회를 꿈꾼다"며 "청년의 미래가 곧 대한민국의 미래"라고 말했다.
아울러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처럼, 청년 한 명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온 나라가 함께 힘을 모으겠다"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청년들에게 기회의 장을 열어주신 한국경제인협회와 모든 참여 기업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를 전한다"고 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달 16일 국무회의에서 "청년 고용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의 노력도 필요하다. 청년, 기업, 국가 모두가 '윈윈'하는 경제성장의 새 물꼬를 트자는 간곡한 당부의 말씀을 드린다"며 기업들의 적극적인 청년 일자리 창출을 당부한 바 있다.
이후 삼성이 향후 5년간 6만 명(연간 1만 2000명) 신규 채용 계획을 발표했고, SK는 올해 8000명), 현대차는 7200명을 새로 뽑고 내년에는 1만명까지 이를 확대하는 방향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화는 5600명, 포스코그룹도 올해 신규 채용 규모를 3000명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