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출입기자단을 위해 생방송 촬영과 자체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오픈 스튜디오'를 새롭게 개방한다. 기존의 정부 홍보 중심 공간을 언론과 공유함으로써 정책소통의 방식을 바꾸겠다는 취지다.
김남국 대통령실 디지털소통비서관은 22일 브리핑에서 “정책 홍보의 일방향 구조를 벗어나기 위해, 기자들이 직접 참여하고 방송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며 “희망하는 기자는 고정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고, 세부 콘텐츠 구성은 전적으로 자율에 맡긴다”고 밝혔다.
이 스튜디오는 애초 대통령실이 운영하던 자체 영상 프로그램 '디소 브리핑(디지털소통 브리핑)' 제작을 위해 조성된 곳이다. 그러나 활용률이 낮자, 정부는 이 공간을 기자들에게 개방해 **'국정소통 플랫폼'**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김 비서관은 “기존 부처별 영상 콘텐츠가 조회수나 홍보 효과 면에서 기대에 못 미쳤다”며 “대통령실이 직접 방송하는 동시에, 기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정부 정책을 다루는 장을 열면 오히려 홍보 효과가 커질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디소 브리핑을 주 3회만 진행해도 실제 사용 시간은 하루 3시간 정도에 불과하다”며 “비어 있는 시간을 기자들에게 개방해 국민에게 더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자는 취지”라고 덧붙였다. 이어 “이재명 정부가 내세운 핵심 가치가 투명성과 개방성인 만큼, 이번 시도도 같은 맥락에서 출발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기본적인 방송 장비와 송출 인력도 함께 지원한다. 음향·조명·카메라 등 생방송 송출에 필요한 최소 기술 인력이 현장에 배치된다. 방송은 각 언론사 자체 채널을 통해 송출되며, 희망할 경우 김 비서관의 개인 유튜브 채널인 '김남국TV'에서도 중계할 수 있다.
김 비서관은 “헌법상 검열은 불가능하며, 라이브 방송 특성상 사전 통제가 이뤄질 수 없다”며 “대통령실을 비판하는 내용이더라도 원칙적으로 제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실 실무자들이 언론 인터뷰에 자주 참여할 수 있도록 중간 역할을 하겠다”며 “굳이 외부 방송국을 찾아가지 않아도 현장에서 즉석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향후 용산 청사에서 청와대로 이전하더라도 오픈 스튜디오 운영을 이어갈 방침이다. 정책소통의 주체를 정부에서 국민과 언론으로 넓히겠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