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의 관세협상이 정치권에서 정쟁으로 변질되고 있다.
양국간 후속협상이 풀리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정부의 흔들림 없는 협상을 위한 국회 지원사격을, 국민의힘은 '협상 실패', '정부의 무능'이라며 공세를 이어가면서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최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8월 한 달 동안 자동차부품·철강 등 중소 제조기업 133곳이 도산했다”며 “관련 산업의 생태계가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는 '제조업 붕괴의 신호탄'”이라고 밝혔다. 다른 야권 의원들도 일본이 빠르게 미국과 협상을 통해 관세 부담을 낮춘 사례를 들며 정부를 공격한다.
아쉬운 점은 협상 교착으로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정치권은 여전히 정쟁에만 매달리는 현실이다. 야권이 제기하는 일본의 사례도 그 합의가 '무리한 협상'이었다는 입장과 더불어 재협상 필요성까지 거론된다. 사실 우리가 본보기로 삼기엔 무리인 부분이 있다.
그런 가운데 한 야권 관계자 현수막은 눈길을 끈다. '쓰까요정'으로 알려진 김경진 국민의힘 동대문(을)당협위원장이 내건 현수막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대한민국에 대한 통상 압박을 중단하고 우방을 존중하십시요. 우리는 동맹의 지속을 원합니다”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야권에서 정부 비판 대신 미국의 무리한 요구에 직접 메시지를 던진 이례적 사례다. 정치가 국익을 바라봐야 한다는 점에서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과도한 미국의 관세 압박으로 우리 기업들의 부담은 이미 한계에 이르고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정쟁이 아니라, 김경진 위원장이 보여준 것처럼 국익 중심의 '원팀' 자세다.
관세 대응은 여야가 다를 수 없다. 대한민국 산업 전체의 문제다. 국회가 이제라도 초당적 협력에 나서, 닥친 관세의 파고를 함께 헤쳐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