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외투 18% 감소..美기업 투자 늘었지만 EU, 일본, 중국 등은 감소

안영국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유법민 산업통상부 투자정책관이 15일 정부세종청사 산업부 기자실에서 '2025년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을 브리핑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올해 3분기까지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전년보다 18% 줄었다. 상반기 국내 정치 불안과 미국발 통상정책 불확실성 지속, 글로벌 M&A 시장 위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15일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누적 외국인직접투자 신고액은 206억5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8.0% 감소, 도착액은 112억9000만달러로 2.0% 줄었다. 작년 3분기(251억8000만달러)가 역대 최대 실적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기저효과 영향도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국가별로는 미국에서 화학·유통·정보통신 업종 중심으로 49억5000만달러가 유입돼 58.9% 증가했다. 반면 유럽연합(EU)은 25억1000만달러(△36.6%), 일본은 36억2000만달러(△22.8%), 중국은 28억9000만달러(△36.9%)로 감소했다.

투자 형태별로는 그린필드형(공장·법인 설립 등 신규투자) 신고액이 177억7000만달러로 6.1% 줄었고, M&A형 투자는 28억8000만달러로 54.0% 감소해 전체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됐다. 다만 그린필드 도착액은 82억1000만달러로 23.0% 늘어,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의 실질적 효과가 기대된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도착 기준으로는 미국(29억9000만달러, +99.7%)과 중국(4억5000만달러, +35.5%)에서 증가했지만, EU(24억8000만달러, △41.8%), 일본(4억5000만달러, △60.5%)은 감소했다. 제조업(△25.5%)은 줄었으나 서비스업(10.3%)은 유통·정보통신 업종 중심으로 늘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AI·반도체·소부장 등 첨단산업 중심의 그린필드 투자 유치를 위해 현금·입지 지원, 해외 IR 등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