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워크도 거뜬' KAIST 휴머노이드 로봇 하체 독자 개발

조아라 기자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오리걸음, 문워크 등 사람 특유의 고난도 동작을 소화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 하체 플랫폼이 개발됐다.

KAIST 기계공학과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휴보랩)의 박해원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의 하체 플랫폼을 독자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사람과 유사한 신장(165㎝)과 체중(75㎏)을 목표로 설계했으며, 모터, 감속기, 모터 드라이버 등 모든 핵심 부품을 직접 설계·제작해 하드웨어(HW) 기술 독립성을 달성했다.


▶ 동영상 콘텐츠는 더존비즈온 '원스튜디오'를 활용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