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KB·하나금융 등 6곳, ESG평가서 ‘S등급’… 카카오 2단계 상승

김지영 기자
입력
수정 2025.10.21. 오후 7:35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ESG평가원]


국내 주요 상장사들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수준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ESG평가원의 올해 정례 평가 결과, 신한금융·네이버·KB금융·하나금융·우리금융 등 6개사가 최고 등급인 S등급을 받았다. 특히 카카오는 두 단계 상승하며 ESG 경영 개선 폭이 가장 컸다.

한국ESG평가원은 올해 상장사 정례 평가에서 신한금융, 네이버, KB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 등 6곳이 ESG 최우수 등급인 S등급을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삼성전자, 기아, 현대차, SK 등 8곳은 A+등급을 받았다. 이어 A등급에는 삼성생명, 미래에셋증권, 삼성카드, 삼성물산 등 35개사가 뽑혔다.

삼성전기, 이마트, 강원랜드, 현대글로비스 등 41개사는 B+등급 판정을 받았다. B등급에는 포스코인터내셔널, 한온시스템, 한미약품 등 9곳이 포함됐다.

이번 평가에서 C+등급을 받은 상장사는 한솔케미칼이 유일했고 최하위인 C등급은 없었다.

이번 평가에서는 25개사가 등급이 오르고, 10개사는 하향 조정됐다. 카카오는 B+에서 A+로 두단계가 올라 가장 개선 폭이 컸고, 네이버와 하나금융은 A등급에서 S등급으로 한 단계가 뛰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