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민주 “서울 전역 거래절벽, 규제의 광기…현금부자만 웃는 부동산 대책”

한기호 기자
입력
수정 2025.10.17. 오후 4:36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文정부 초대 정무수석 맡았던 전병헌 대표 “정교함이라곤 찾아볼 수가 없다”
“공급청사진 없는 수요억제뿐인 강경책, 청년·신혼부부에 주거 절망 그자체”
“전세에 DSR? 서민 주거안정 걷어찬 월세 가속화” 풍선효과·양극화도 우려
“다수의 힘 우격다짐 적폐가 민생까지…자기만족 실험하다 시장·민심 무너져”
전병헌 새미래민주당 대표가 지난 9월 17일 서울 여의도 새민주 당사에서 민주당 창당 70주년 계기 ‘민주사 70년, 새민주가 여는 희망정치’ 행사를 열어 개회사를 하고 있다.<새미래민주당 제공 사진 갈무리>


‘김대중(DJ) 정신 계승’을 표방해온 이낙연계 새미래민주당에서 이재명 정부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두고 “규제 광기(狂氣), 시장 붕괴를 향한 ‘아마추어식’ 폭주”라며 “결국 시장은 이 대책을 ‘현금 부자만 웃는 반쪽짜리 정책’이라 냉소하고 있다”고 혹평했다.

전병헌 새민주 당대표는 17일 소셜미디어(SNS) 메시지를 통해 “무지하면 용감하다(Ignorance is bliss), 이 오래된 격언이 이재명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에서 현실로 구현된 듯하다”며 “서울 전역과 경기 일부를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로 묶은 이번 대책은 ‘안정화’란 이름과 달리 시장을 얼어붙게 만들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문재인 정부 초대 정무수석(2017년 5월~11월)을 지낸 그는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 경향엔 “정교함이라곤 눈 씻고 찾아볼 수 없다”며 “그 실체는 시장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조차 결여된 ‘규제 폭탄’ 그 자체다. 수요억제 일변도 강경책은 발표와 동시에 시장의 냉소·역풍만 자초했다. 말 그대로 ‘절망으로 내모는 거래절벽’ 정책”이라고 했다.

아울러 “주택거래는 사실상 단절 수준, 집값을 잡긴커녕 거래 절벽만 부추겼단 비판이 쏟아진다. ‘실수요자의 마지막 사다리를 걷어찼다’는 지적이 뼈아프다”며 “특히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강화는 ‘현금 부자’에게만 유리하고 청년·신혼부부 등 내집마련의 꿈을 꾸던 이들에겐 주거 절망 그 자체가 됐다”고 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0월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마치고 브리핑실을 나서고 있다. 왼쪽부터 임광현 국세정창,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구윤철 부총리,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이억원 금융위원장.<연합뉴스 사진>


이외에도 “두번째 문제는 임대차 시장의 불안이다. (주택 소유가 아님에도) ‘전세대출에 DSR을 적용’하겠단 발상은 서민 주거안정 명분을 걷어찬 거다. 이는 ‘월세 전환’을 가속화해 불안한 임대차 시장을 더욱 뒤흔들 것이며 전·월세 불안의 악순환을 심화할 가능성이 높다”며 “셋째로 서울 전역을 규제로 꽁꽁 묶은 결과는 자명하다”고 짚었다.

전병헌 대표는 “억눌린 수요는 비(非)규제 지역이나 입주 물량이 부족한 외곽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가격인상이 전가되는) ‘풍선효과’를 노골화할 것이다. 이는 결국 ‘지역 간 부동산 양극화’를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나아가 “가격정책의 본질은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다. 그러나 이번 10·15 대책엔 ‘공급 청사진’이 없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오직 ‘강성 개딸(개혁의딸·이 대통령 강성 팬덤)식 우격다짐’으로 수요만 억누르려는 단순무식한 규제 폭탄만이 남았다. 전문성 없는 졸속이자, 방향 없는 폭주”라며 “무능이 초래한 집값 고통의 책임을 고스란히 국민에게 떠넘기는 아마추어식 선무당 정책”이라고 규정했다.

또 “다수의 힘으로 밀어붙이는 게 일상화한 이 정권의 적폐적 행태가 이제 국민의 삶과 직결된 민생정책에서까지 본색을 드러낸다”며 “국민의 삶을 걸고 ‘정치적 자기만족 실험’을 하는 정부, 그 결과는 시장 붕괴와 민심이반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