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소각 회피용 절대 아냐”…삼성전자, ‘루머 해소’ 사내공지

장우진 기자
입력
수정 2025.10.16. 오후 7:29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최근 내놓은 성과연동 주식보상(PSU) 제도와 관련한 루머 해소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16일 사내공지를 통해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PSU 제도를 시행했다는 루머 사실과 다르다”고 공지했다.

이어 “회사는 주주가치 제고 등을 위해 작년 11월부터 지난달까지 총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했다”며 “이 중 8조4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는 ‘소각’ 목적, 1조6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는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활용하겠다고 이미 공시한 바 있다”고 임직원들에게 설명했다.

또 “소각 목적으로 매입한 자사주 중 3조원 규모의 자사주는 이미 소각을 완료했다”며 “잔여 5조4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도 적절한 시점에 소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매입한 1조6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는 직원 자사주 지급(30주), 초과이익성과급(OPI) 주식보상 등의 재원으로 활용 중”이라며 “2027년까지 소진될 예정으로 2028년 이후 지급될 PSU 자사주는 추가로 매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회사가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해 성과연동 주식보상을 도입했다는 루머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사내 공지한 PSU 제도를 공지했다. 이는 회사 주가가 많이 오를수록 임직원 보상 규모가 비례해 커진다. CL 1~2 직원에게는 200주, CL 3~4 직원에게는 300주씩을 지급하기로 이달 중 약정하고, 3년 뒤 주가 상승폭에 따라 지급주식 수량을 확정해 2028년부터 3년간 균등 분할 지급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내부 일부에서는 ‘자사주 소각 회피용’ 이라는 루머가 나오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9만7700원에 거래를 마쳐 PSU 기준 주가(8만5385원)보다 14% 올랐다.

삼성전자 서초 사옥.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