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열차 승차권 반환 8천만건 ‘역대 최다’…수수료만 420억

최예린 기자
입력
수정 2025.10.21. 오후 4:40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1일 대전 동구 국가철도공단 본사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한국철도공사(코레일)·국가철도공단·에스알(SR)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건태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에스알(SR)의 열차 승차권 반환 건수가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하고 반환 수수료도 420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진행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코레일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건태 의원은 “지난해 열차 승차권 반환 건수가 8337만건으로 2021년 3797만건 대비 2.2배 급증했다”고 밝혔다. 코레일·에스알이 이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열차 위약금(최소 수수료) 수익도 420억원으로 2021년 215억원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앞서 지난 5월 말부터 국토교통부는 일부 승객이 좌석을 대량으로 예매한 뒤 출발 직전에 환불하는 이른바 ‘노쇼’를 막기 위해 주말·공휴일 열차 위약금을 인상하기도 했다. 이 의원은 “코레일과 에스알은 막대한 수수료 수익은 뭉뚱그려 관리하면서 어디에 얼마를 사용했는지 명확하게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정래 코레일 사장 직무대행은 “반환 수수료 인상은 노쇼를 막아 실수요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처”라며 “연말까지 시행한 뒤 개선 방안을 마련해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