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특검 조사를 받은 뒤 숨 양평군청 공무원 사건에 대해 수사 상황과 방식에 문제가 없었는지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특검팀은 조사 과정에 문제가 없었다고 선을 그었지만, 고인의 메모를 기반으로 정치권을 중심으로 회유·강압 수사 의혹이 확산되자 사실상의 진상조사에 착수한 것이다.
김형근 특검보는 13일 브리핑에서 “저희 수사와 관련해 조사받으신 분께서 유명을 달리하셨고 수사 관련해 특검팀이 전반적 부분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전반적으로 재점검하겠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특검 수사 상황과 방식에 대한 ‘재점검’이라고 설명했지만 실질은 감찰 방식의 진상조사에 가깝다. 김 특검보는 “(양평군청 공무원) 수사에 참여했던 수사관들 상대로 수사과정 및 실제 수사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며 “감찰에 준해서 철저하게 확인 중”이며, 강압 수사 정황이 드러날 경우 “상응하는 조처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숨진 ㄱ씨는 양평 공흥지구 개발 특혜 의혹에 연루된 피의자 신분이었다. 김 여사 일가의 가족기업인 ‘이에스아이엔디(ESI&D)’가 공흥리 일대에 350세대 규모 아파트를 조성하면서 2016년 11월엔 개발부담금 17억4800여만원이 부과될 예정이었는데 이듬해 부담금이 면제되면서 문제가 된 사건이 공흥지구 개발 특혜 의혹이다. ㄱ씨는 당시 양평군청 주민지원과 지가관리팀장으로 재직하며 개발부담금 관련 행정 업무를 맡았다. ㄱ씨는 지난 2~3일 특검에 출석해 조사를 받은 직후 작성한 메모에서 “이 세상을 등지고 싶다. 모른다고, 기억 안 난다고 사실대로 말을 해도 계속 다그친다” “수사관의 무시 말투와 강압에 전혀 기억도 없는 진술을 했다” “수사관들이 정해서 요구하며 빨리 도장을 찍으라고 계속 강요한다. 집에 와서 보니 참 한심스럽다”는 내용 등을 남겼다.
국민의힘은 조사 당시 폐회로텔레비전(CCTV) 녹화를 공개하라고 요구했지만 ㄱ씨가 동의하지 않아 영상녹화물은 없는 상태다.
김 특검보는 “조사실 내 영상은 없지만, 그 외에는 (폐회로텔레비전이) 설치된 부분이 있으니 간접적으로 조사 상황과 관련된 부분도 검토할 예정”이라며 “영상 공개도 유족이 동의한다면 검토해볼 것”이라고 했다. 특검팀은 숨진 ㄱ씨를 ‘공소권 없음’ 처분했지만 공흥 지구 개발 특혜 의혹 수사는 이어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