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공백 우려에 “시스템 가동 전 통신·보안장비 먼저 가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와 관련, 정부가 대체 수단을 확보하고 대구 센터 이전을 위한 업체를 선정하는 등 복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일 오후 이번 화재 관련 브리핑에서 “이날 오후 2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중 1등급 업무 21개를 포함해 총 101개 시스템이 복구됐다”고 밝혔다.
김민재 중대본 1차장은 “복구된 101개를 제외한 총 546개 시스템 중 267개(49%) 시스템에 대해서는 대체 수단이 확보됐고, 대체 수단이 확보되지 않은 시스템에 대해서는 조속히 대체 수단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센터로 이전할 업체도 선정됐다. 김 차장은 “화재가 발생한 7-1 전산실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로 이전을 위한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업체가 선정돼 장비 입고를 개시했다”면서 “이날부터 국정자원 현장에 현장상황실을 설치하고 행안부 차관이 현장상황실장을 맡아 시스템 복구와 대구센터로의 이전 지원 등을 추진한다”고 말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의 영향으로 인한 보안 공백 우려와 관련해 김 차장은 “국정자원 사이버안전과를 통해 확인했더니 국가정보통신망의 보안장비는 가동 중이었고, 대전센터 통신망의 보안장비는 일시 중단했으나 시스템 가동 전 통신과 보안장비를 먼저 가동한 이후에 일반 시스템을 가동해 보안 공백은 없게 했다”고 밝혔다.
정보시스템 장애 민원에 대해서도 지난 9월29일부터 110 콜센터와 120 콜센터를 통해 점검한 결과, 부동산 종합 공부 시스템과 같이 일상과 관련된 시스템의 이용 불가에 대해 장애 이유와 복구 시점 문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정부24, 무인민원발급기 등이 정상화되면서 민원 상담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소상공인 피해에 대해서도 지원책 마련에 나선다. 우정사업본부는 추석 성수기에 영업을 못 하게 된 우체국 쇼핑몰의 입점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33억원어치 물품을 직접 구매하고, 정상 가동 이후에도 1달간 판매 수수료를 면제해 매출 회복을 돕기로 했다.
중기부는 해당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2400여개 업체에 민간 온라인 쇼핑몰 입점을 지원하고, 업체당 200만원의 쿠폰을 지원한다. 조세심판원은 장애가 해소된 날부터 14일 이내에 제기되는 심판 청구는 기한내 청구한 것으로 인정하는 연장 조처를 시행하기로 했다.
김 차장은 “추석 연휴가 끝나면 국정감사가 시작된다. 국회의 자료요구가 많을 것으로 예상하는데 공문서 결재와 문서 수·발신이 이뤄지는 온나라 문서 시스템을 신속히 복구해 국정감사에서도 차질 없도록 지원하겠다”면서 “신속한 복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