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발생한 시스템 장애와 관련해 “국민 불편 시스템 복구를 최우선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1일 오전 9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7차 회의를 열고 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오전 8시 기준으로 1등급 시스템 21개를 포함해 총 98개 시스템이 복구됐다. 앞서 3등급으로 분류됐던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시스템이 1등급인 것으로 다시 확인돼, 복구된 1등급 시스템은 모두 21개로 수정됐다.
정부는 추석 명절을 앞두고 하도급 대금지급시스템인 ‘하도급 지킴이’가 복구돼 임금 미지급 또는 지연지급 우려가 완화됐고, 119신고자의 정확한 위치 확인을 가능케 하는 ‘119 이동전화 수동조회 시스템’도 재가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부터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현장상황실’을 설치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이 현장상황실장을 맡아 647개 시스템별 복구 진행 상황을 살핀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시스템이 정상화될 때까지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사항에 대해서는 보완한다는 계획이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국민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민 불편 시스템 복구를 최우선으로 추진해 명절 기간 전후로 발생할 수 있는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국정감사를 지원하는 ‘온나라 문서시스템’ 신속 재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