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사육곰 보호시설 정식 개소…10마리 첫 ‘입주자’로

김지숙 기자
입력
수정 2025.09.30. 오후 6:02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애니멀피플
국내 첫 공영 사육곰 보호시설
30일 국내 첫 공영 사육곰 보호시설이 전남 구례 마산면에 문을 열었다. 사진은 보호시설에 입소한 곰의 모습. 환경부 제공

국내 첫 공영 사육곰 보호시설이 전남 구례에 마련돼 30일부터 정식으로 문을 연다고 환경부가 밝혔다. 웅담채취용으로 사육되던 곰들의 여생을 책임질 생추어리(보금자리)로, 시설에는 현재 10마리의 곰이 입소해 있다.

‘구례 곰 마루쉼터’는 지난 2021년 2월 국고 보조사업 공모에 구례군이 선정되면서 구례군 마산면 지리산국립공원 인근 부지에 조성됐다. 총면적 2만5744㎡ 규모로 방사장 3개, 사육동 2개, 검역동 1개로 구성돼 최대 49마리의 곰을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구례군은 곰들을 제대로 돌보기 위해 ‘지리산 반달곰 증식·복원사업’으로 반달가슴곰을 돌본 경력이 있는 국립공원공단과 협약을 맺고, 시설 운영을 위탁했다.

지난 25일 시설에 도착한 10마리 곰들은 경기 연천의 한 농가에서 웅담채취용으로 길러지던 곰들로, 시민단체들의 모금으로 매입한 개체들이다. 애초 12마리가 입소할 예정이었으나 이날 마취·운송 과정에서 두 마리가 사망했다. 곰 매입을 추진한 시민단체들(동물자유연대·녹색연합·곰 보금자리 프로젝트·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은 “열악한 사육 환경에서 제대로 된 건강관리가 이뤄지지 않은 노령 개체들에게 마취와 장거리 운송은 큰 위험을 동반한다”며 “앞으로 남은 곰들의 구조 과정에서 위험을 줄이기 위한 개선책을 정부와 함께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입소 개체들 가운데서도 다리가 없거나 치아·시력이 손상되는 등 다친 곰들도 있어, 수의사 등 전문 인력의 추가 검진과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한다.

이날 개소식에는 금한승 환경부 차관과 이학영 국회부의장, 김순호 구례군수,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 등이 참석했다. 금 차관은 “구례 사육곰 보호시설의 개소는 정부·국회·시민사회가 힘을 합쳐 이뤄낸 협력의 성과”라며 “환경부는 앞으로도 남은 사육곰들을 보호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추진하는 등 곰 사육 종식을 위해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25일 시설에 도착한 10마리 곰들은 경기 연천의 한 농가에서 웅담채취용으로 길러지던 곰들로, 시민단체의 모금으로 매입한 개체들이다. 환경부 제공

사육곰 산업은 1981년 정부가 농가 수입 증대 목적으로 장려하면서 시작됐다. 그러나 점차 멸종위기종에 대한 국내외 보호 여론이 높아지고, 1993년 우리나라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가입하면서 사실상 곰 수출이 중단됐다. 이후 30여년간 이어져 오던 사육곰 산업은 지난 2022년 1월 환경부가 시민단체·사육곰 농가와 ‘곰 사육 종식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며 마무리 수순에 들어갔다. 이후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야생생물법)이 개정돼 곰 사육과 웅담 채취, 거래가 내년 1월부터 전면 금지될 예정이다.

현재 전국에는 약 240여 마리의 곰이 남아있는데, 시민단체는 이들을 순차적으로 매입해 보호시설로 이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이번에 문을 연 구례 보호시설과 새로 건립 중인 충남 서천 보호시설의 수용 마릿수는 최대 120~130마리로, 여전히 100여 마리에 대해서는 추가 보호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