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업체의 부담이 특히 급증했다. 일본 도요타(약 95억 달러), 미국 포드(30억 달러)는 물론 폭스바겐ㆍ스텔란티스 등 유럽 완성차업체도 손실이 수십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이들 기업은 생산기지를 옮기는 등 대미 투자를 늘려 관세 부담을 낮추려 노력하고 있지만, 이 역시 상당한 비용이 든다. 스텔란티스의 안토니오 필로사 최고경영자(CEO)는 “관세는 더 이상 예측 불가능한 리스크가 아니라 관리해야 할 사업 방정식의 또 다른 변수”라고 말했다. 이 기업은 4년간 미국에 13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다만 로이터는 “유럽연합(EU)ㆍ일본 등이 미국과 무역 협정을 체결한 이후, 많은 기업이 이전의 최악의 (비용 부담) 전망치를 낮췄다”고 분석했다. 프랑스 주류업체 레미코앵트로ㆍ페르노리카, 일본 소니 등이 해당한다. 브라질 수출품 3분의 1에는 50% 관세가 면제되는 등 예외 규정을 둔 것도 관세에 따른 비용 압박을 누그러뜨렸다.
하지만 국제상공회의소(ICC) 앤드루 윌슨 부사무총장은 “일부 양자 협정이 착륙점에 도달했지만, 앞으로 더 큰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기다리고 있다”고 경고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초 중국산에 ‘100% 추가 관세’를 예고했다가, 발언을 번복한 것이 대표적이다.
추가 관세로 기업이 떠안은 비용은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 다만 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서두르지 않는 건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위험성 때문이다. 골드만삭스는 관세 비용의 55%를 미국 소비자들이 떠안게 될 거라고 예상했다. 미국 기업(22%), 해외 수출업체(18%)보다 훨씬 부담이 크다. 의류업체 H&M의 다니엘 에르버 CEO는 “관세는 매출 총이익뿐 아니라 소비자 심리에 영향을 미친다”며 “가격 인상이 (이미)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 경기 둔화 우려도 함께 짙어졌다.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면적인 관세가 미래 성장 전망을 약화시키기 시작했다”고 짚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연 3.2%로 예상했는데, 코로나19 이전(연평균 3.7%)에 못 미친다. 내년엔 더 둔화(3.1%)할 것으로 예상했다. 피에르 올리비에 고린차스 IMF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우려했던 것만큼 나쁘지는 않지만 1년 전보다,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보다 더 나쁘다”고 짚었다. “무역 정책 불확실성의 재확대나 인공지능(AI)에 대한 기대가 실망으로 돌아선다면, 금융시장이 급락할 위험이 있다”고 IMF 관계자들은 전했다.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도 마찬가지다. 한국은행은 전날 국정감사에서 “미국의 관세 영향이 확대되며 수출 둔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철강ㆍ기계류ㆍ자동차(부품 포함)를 중심으로 이달 1~20일 대미 수출이 전년 대비 24.7% 급감했는데, 조업일수 감소에 더해 미국 관세 충격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앞서 한은은 대미 관세가 지난 7월 한·미 정부가 합의한 15% 수준으로 높아진다면 국내 경제성장률이 올해 0.45%포인트, 내년 0.6%포인트 각각 낮아질 것으로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