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다수의 텔레그램 채널과 경찰 설명 등을 종합하면, ‘웬치’(园区)라고 불리는 대규모 범죄 단지가 있는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서 여러 사기 조직이 이사를 시작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한 텔레그램 채널에는 많은 사람이 주거단지처럼 보이는 건물에서 컴퓨터 모니터 등 짐을 승합차와 화물차에 싣는 사진과 영상이 게시된 상태다. 해당 게시물에는 “구역 내 회사들이 긴급 대피를 준비” “올해 미국에서 발표한 인신매매 보고서에서 시아누크빌이 주요하게 언급돼 당국이 정비를 의도한 것이라는 말도 있다”는 등의 설명도 있었다.
특히 라오스·태국·베트남 등에 이미 한국인 조직원으로 구성된 범죄조직이 성행 중인 점을 고려하면, 캄보디아에 있는 조직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란 예측도 있다. 해외 보이스피싱 등 범죄 관련자에 대한 내용을 폭로하는 텔레그램 채널 운영자 ‘천마’ 황모씨도 이날 중앙일보에 “정부 대응은 늦어도 너무 늦었다”며 “이미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조직 70%는 캄보디아를 떠나 다른 곳으로 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달 경찰은 태국 파타야에 자리잡아 조직적으로 사기 행각을 벌인 범죄단체 구성원 25명을 검거했는데, 이들 중 상당수가 캄보디아 등지의 조직과 마찬가지로 ‘고수익 일자리’ 구인 광고를 통해 모집된 인원이었다. 이들 또한 자기 조직을 ‘회사’처럼 여기면서 보이스피싱 등 ‘사기 업무’를 해왔다.
문제는 범죄조직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감금된 사람에 대한 구조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이다. 경찰이 현지에 ‘코리안 데스크(한인 사건 전담 경찰관)’을 설치하는 등의 대응을 준비하고는 있지만, 범죄조직이 국경 너머로 본거지를 옮긴다면 이마저도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사법 당국의 추적과 동시에 정부가 외교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재환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캄보디아가 공적개발원조(ODA) 수혜국이라는 점을 고려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ODA 내용에 안전 문제를 포함하는 등 인센티브를 논의하는 방안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