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부동산 규제지역 추가 가능성

입력
수정 2025.10.13. 오후 2:59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대통령실이 서울·경기 지역을 타깃으로 한 부동산 추가 대책을 이번 주 내놓기로 했다.

12일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고위 당정협의회 후 열린 브리핑에서 “정부가 이번 주 내 적절한 시간에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최근 서울 및 경기 일부 지역의 주택시장 동향을 논의했으며, 시장 안정을 위한 근본적·종합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10월 10일자 1면

6·27 대출 규제, 9·7 부동산 공급 대책에 이어 한 달 만에 이재명 정부의 세 번째 집값 대책이 나온다. 이전 대책의 효과가 약해지고 있는 데다 비규제지역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번지고 있어서다.

주담대 한도 ‘6억→4억’ 낮추나…공시가격 현실화는 빠질 듯
이번 대책에선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 확대가 핵심이 될 가능성이 크다. 서울 성동구·마포구 등 ‘한강 벨트’ 권역과 경기도 과천시, 성남시 분당구 등이 유력한 후보군이다. 현재 규제지역은 서울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와 용산구에만 적용되고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은 후보지에 지역구를 둔 여당 의원을 중심으로 반발이 있어 당정 조율이 난항인 상황이다.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도 추가 대책으로 거론된다. 주요 내용으로 ▶대출 한도 6억원→4억원으로 조정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35%로 조정 ▶일부 지역 주택담보인정비율(LTV) 0%로 제한 등이 검토되고 있다.

공시가격 현실화율과 공정시장가액비율을 높이는 방안도 정부가 검토 중이지만 ‘증세’ 카드에 대한 부담 때문에 이번 대책에선 빠지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공시가격 문제를 이번 대책에 포함하긴 어렵고, 대출 규제도 수위를 조절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세표준을 결정하는 공시가격 현실화율과 공정비율을 높이면 세율을 올리지 않아도 세 부담이 늘어나 수요를 어느 정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