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운전 징계받고도···IBK기업銀, 징계자에 성과급 퍼줬다 [국회 방청석]

조동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최근 5년 지급액 합계 12억5647만원
기업은행, 11억4631만원으로 가장 많아
김재섭 “공적 책무 지는 기관 신뢰 훼손”


최근 5년간 징계자에게 가장 많은 성과급을 지급한 곳은 IBK기업은행으로 확인됐다. 사진은 IBK기업은행 전경. (IBK기업은행)
최근 5년간 주요 금융공기업 소속으로 징계받은 직원이 성과급을 받은 규모가 12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IBK기업은행(중소기업은행)에서만 11억4361만원의 성과급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이 5개 금융 관련 기관(중소기업은행,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해까지 징계자 204명에게 집행된 성과급은 총 12억5647만원이다. 징계 사유에는 성 비위·음주운전·금품수수·직장 내 괴롭힘 등 정직이나 면직에 이르는 중대한 위반이 포함됐다.

징계자에게 가장 많은 성과급을 지급한 곳은 IBK기업은행이다. 5년간 기업은행은 징계가 확정된 직원에게 11억4361만원의 성과급을 지급했다. 음주운전으로 ‘정직’ 처분받은 직원에게 1012만원, 금품 횡령으로 감봉 처분받은 직원에게 1007만원의 성과급이 지급되는 등 168명의 징계자에게 금전적 혜택이 유지됐다.

최근 5년간(2020년 이후) 연도별 직원 징계 현황·성과급 지급 내역. (김재섭 의원실 제공)
이외 한국주택금융공사는 5572만원, 한국자산관리공사는 2907만원, 서민금융진흥원은 1809만원, 한국산업은행은 996만원을 징계자에게 성과급을 지급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는 성 비위로 정직 처분받은 직원에게 1460만원의 성과급을 그대로 줬다. 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으로 견책 처분받은 직원이 498만원을 받았다.

김재섭 의원은 “공적 책무를 지는 기관이 징계 확정자에게 성과급을 유지·지급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신뢰는 훼손됐다”며 “대출자와 납세자에게 책임을 요구하면서 내부에서는 비위 행위자에게 금전적 혜택을 남겨둔 건 명백한 기강 붕괴이자 국민 기만”이라고 지적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