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미·중 정상회담 불발 경계감에 혼조…다우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거래장에서 트레이더가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미중 정상회담 무산 가능성 발언이 나오며 뉴욕증시 기술주가 일제히 급락했다. 반면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최고치를 경신하며 4만7000선을 목전에 뒀다.

21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18.16포인트(0.47%) 상승한 4만6924.74에 마감했다. S&P(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 지수는 0.22포인트(0.00%) 오른 6735.35에 마감했다. 나스닥지수는 36.88포인트(0.16%) 하락한 2만2953.67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가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데 이어 종가 기준으로도 역대 최고치를 찍었지만 기술주는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이달 말 한국에서 만나 많은 것을 이야기할 것”이라며 “어쩌면 회담이 성사되지 않을 수도 있고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고 말하자 기술주가 흔들렸다.

특히 최근 강세를 보였던 알파벳은 장중 4% 넘게 밀리다 2%대 약세 마감했다. 엔비디아와 브로드컴, 테슬라도 1% 안팎으로 떨어졌다.

애플은 소폭 상승하며 시가총액 3조9000억달러를 기록했다. 오픈AI 등장 이후 증시를 휩쓴 인공지능(AI) 테마에서 소외되며 한동안 숨을 죽여왔지만 AI 거품론이 확산된 데 이어 아이폰17 등 신제품 실적이 부각되며 매수세가 몰리는 분위기다. 애플이 시총 4조달러를 돌파하면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역사상 세 번째 기업이 된다.

아마존은 전날 클라우드 서비스 AWS의 대규모 장애에도 불구하고 2.56% 상승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사태가 오히려 AWS에 대한 기업들의 높은 의존도를 확인시켜줬다는 해석이 나온다.

장 마감 후 실적을 공개한 넷플릭스는 3분기 조정 주당순이익 5.87달러, 매출 115억1000만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에 못 미쳤다. 브라질 세무 분쟁 비용으로 영업이익률이 가이던스(31.5%)보다 낮은 28%에 그쳤다는 설명이다. 넷플릭스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5% 넘게 하락 중이다.

반면 코카콜라는 3분기 실적이 예상을 웃돌며 주가가 4% 뛰었다. 제너럴 모터스(GM)도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하고 연간 실적 전망도 상향하며 14.86% 치솟았다. 특히 GM이 올해 관세 영향을 기존 40억~50억달러에서 35억~45억달러로 35% 하향 조정하자 매수세가 유입됐다. 관세 부과 타격이 예상보다 작은 데다 수익성이 높은 내연기관 기반 픽업트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량이 늘어난 효과라는 설명이다.

나벨리어 앤 어소시에이츠의 루이스 나벨리어 설립자 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대형 글로벌 기업들이 예상보다 나은 실적을 내고 있다는 좋은 신호”라며 “3분기 실적 시즌이 좋은 출발을 보였고, 연말에도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