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 명의로 분당 33억 아파트 보유
국힘 “집 못 사는 국민 조롱하나” 비판
20일 부동산 유튜브 채널 ‘부읽남TV’에 공개된 영상에서 이 차관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주택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의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대출 제약으로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사려고 하니까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라며 “시장이 안정화돼 집값이 떨어지면 그때 사면 된다”고 덧붙였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집값 하락 지역까지 일괄 적용됐다는 점을 사실상 인정한 셈이다.
이 발언이 공개되자 온라인 커뮤니티와 부동산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정부를 믿고 기다리다 ‘벼락거지’가 됐던 사람들을 조롱하는 듯하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정책의 일관성 부족과 무책임한 발언이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 차관은 고위 공직자 중에서도 상당한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직자 재산공개 대한민국 전자관보를 보면 국토교통부 이 1차관의 배우자는 ‘10·15 부동산 대책’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새로 지정된 경기 성남시 분당구 배현동의 한 아파트를 지난해 7월 33억5000만원에 매입한 뒤, 같은 해 7월 14억 8000만원에 2년간 전세계약을 체결했다. 이 아파트의 최근 거래액은 40억원 안팎에 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부동산 업계에선 “주택정책 핵심 공직자가 사실상 갭투자를 한 것 아니냐”는 뒷말이 무성하게 나오고 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1일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시장에 대한 무능을 넘어 무책임으로 점철돼 있다”며 “국토부 1차관이 ‘집값 안정되면 사라’는 유체이탈 발언을 했다”고 비판했다.
송 원내대표는 “국민은 대출이 막혀 집을 살 수도, 팔 수도 없는 절망적인 상황에 놓여 있는데 정부 고위 인사들은 막말로 상처를 주고 있다”며 “이 차관은 56억 자산가로, 배우자 명의로 33억대 아파트도 갖고 있다. 이런 이들이 ‘기다렸다가 사라’고 말하는 것은 국민 정서를 완전히 무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대통령실 참모 30명 중 20명이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재명 정부와 여권 고위층은 수십억 자산으로 이익을 누리면서 국민에게는 전월세 난민으로 살라는 것이냐”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