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치료 안 되면 수술 고려
이석(耳石)은 칼슘 덩어리로 이뤄진 미세 입자다. 이석증은 전정기관 중 하나인 이석기관의 이석이 제자리를 이탈해 또 다른 전정기관인 반고리관에 들어가 발생한다. 반고리관은 내림프액이라는 액체로 채워져 있는데, 이곳에 이석이 들어가면 머리를 움직일 때 반고리관 안에서 이석이 이리저리 움직이며 내림프액이 출렁거린다. 비정상적인 내림프액 흐름은 평형감각을 자극하고 가만히 있는데도 하늘이나 주위가 빙빙 도는 듯한 어지럼증을 일으킨다.
이석증 발병 원인은 뚜렷하지 않다. 이석이 제자리를 이탈하는 이유 자체가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주로 노화의 시작 단계인 중·노년층 발병 비율이 높다.
이석증은 보통 자연 치료된다. 가만히 두면 수주에서 수개월 후 저절로 없어진다. 이석증이 의심된다면 일단 이석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가급적 머리나 몸을 급격히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머리를 돌리거나 뒤로 젖히는 등 과도한 움직임을 줄이고 취침 때까지는 되도록 머리를 세운 채로 앉은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다만 몇 달 동안 치료해도 낫지 않는 난치성 이석증은 반고리관을 막는 반고리관폐쇄술이라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이석증은 재발률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독일 뮌헨대 신경과 연구진이 이석증 환자 125명을 6~17년간 관찰한 결과, 5년 이내 평균 재발률이 33~50%에 달했다. 재발을 막는 방법은 알려진 게 없다. 평소 가벼운 운동과 규칙적인 야외 활동을 통해 골대사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생활 수칙이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