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홀 위험 ‘지하공동’, 올해만 436곳 발견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7개월간 서울시 주요 도로 조사
시, 노후 하수관 79㎞ 구간 정비


지난 3월 25일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도로에서 전날 발생한 대형 땅꺼짐(싱크홀) 현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에서 지반 침하(싱크홀)로 이어질 수 있는 지하 공동이 올해만 436개 발견됐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장비를 이용해 시내 주요 도로와 지하 굴착공사장 인근 5370㎞ 구간을 조사한 결과, 지하 공동 436개가 발견됐다. 지하 공동은 지표 하부에 생긴 공간으로, 공동이 확대되면 지반 침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올해 3월까지만 해도 발견된 지하 공동은 한 자릿수였다. 그런데 3월 말 1명이 숨진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 사고를 계기로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주변 등에 대한 GPR 탐사를 강화하며 발견 건수가 급증했다. 4월엔 141개로 증가했고 5월 76개, 6월 122개, 7월 84개가 발견됐다.

GPR은 탐사 차량 아래 설치된 ‘리프트’에서 지하로 고주파 전자기파를 쏴서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를 바탕으로 싱크홀 위험을 탐지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지하로 내려갈수록 신호가 약해져 통상 지하 2m까지만 관측이 가능하다.

대형 싱크홀은 통상 지하 10m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시는 관측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반 침하 관측망’을 내년에 100개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지반침하 관측망은 지하 20m에 기둥형 관측기를 매설하는 방식이다. 이 관측기에 달린 안테나가 반경 50m 안팎의 지층 변동을 감지하고 관측소에 결과를 보내 싱크홀을 탐지한다.

시는 지반 침하 주요 원인인 노후 하수관 정비 확대도 추진한다. 정비가 시급한 전체 124㎞ 중 79㎞ 구간에 대해선 25개 자치구에 예산을 추가 배정해 정비를 확대한다. 해당 지역은 30년 이상 된 노후관과 과거 지반 침하 발생 지역을 정밀조사한 결과 긴급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곳이다. 정비하는 데 필요한 예산은 1860억원으로 추산됐다.

특히 서울의 하수관 노후도는 부산·대구 등 다른 6대 광역시보다 심각한 수준이다. 서울의 전체 하수관은 1만866㎞인데, 20년 이상 된 하수관은 7182㎞로 66.1%를 차지한다. 반면 6대 광역시 평균 하수관 길이는 5906㎞로 이 중 20년 이상 하수관은 3320㎞, 56.2% 규모다.

문제는 노후 하수관이 지반 침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는 점이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서울에서 발생한 지반 침하 122건 중 하수관 손상에 의한 사고가 51건에 달했다.

시는 하수관 정비를 위해 국비 지원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서울만 전국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하수도 정비에 필요한 국비를 지원받지 못하고 있다. 이번 국고보조금 338억원은 서대문구 연희동, 강동구 명일동 지반 침하 사고로 이뤄진 한시적 지원금이다. 시는 국비 지원 기준을 재정자립도가 아닌 노후관 길이 등으로 변경할 것을 정부에 건의한 상태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