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가지 기억하세요”...서학개미가 주목할 키워드

문지민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연준,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주가 상승폭 결정 요인 ‘실적’


지난 9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가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UPI연합)
10월 주식 투자자가 주목할 키워드로 크게 두 가지가 꼽힌다. 바로 금리와 실적이다. 하나증권은 지난 9월 29일 발간한 ‘10월 주식 시장 전망과 전략’ 보고서를 통해 금리와 실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 9월 연준은 기준금리를 25bp(1bp=0.01%포인트) 내리며 올해 첫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동시에 연내 2회, 내년 1회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하나증권은 연준이 과거 성장률 둔화를 막기 위해 1995년 7월부터 1996년 1월까지 3회에 걸쳐 금리를 총 75bp 내린 상황과 비교했다. 당시 금리 인하 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가 상승했으며, 금융·테크·헬스케어 업종 강세가 두드러졌다는 분석이다.

이재만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1996년 1월 금리 인하 종료 시점부터 미국 주택 가격이 본격적으로 상승했다”며 “주택 가격 상승을 기반으로 주택담보대출(모기지)을 내주는 금융기관이 높은 주가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이어 “인수·합병(M&A)과 지분 투자 중계 또한 금융기관 이익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며 “이번 금리 인하 국면에서 글로벌 유동성 확장을 통해 테크나 헬스케어 등 성장 산업의 M&A와 지분 투자 확대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주가 상승폭을 결정하는 건 실적이라고 강조했다. 하나증권은 과거와 비교해 금리 변화에 따른 주가 민감도가 낮아졌다고 진단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 대다수 기업이 강력한 구조조정을 통해 부채 비율을 낮추고 자사주 매입을 확대한 덕분이다. 실제로 지난해부터 이어진 S&P500지수 상승은 주가수익비율(PER) 확대보다 기업 주당순이익(EPS) 증가에 기반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 애널리스트는 “주도주를 만드는 요소는 매출이고 향후 주가상승률을 결정하는 건 영업이익률”이라며 “2023년 매출증가율 정점을 형성한 엔비디아는 이후 영업이익률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2023~2025년 주가가 437%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하나증권은 두 가지 투자 전략을 제시했다. 첫째는 높은 가격 결정력을 바탕으로 원가 상승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해 영업이익률을 끌어올릴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엔비디아·알파벳·넷플릭스·팔란티어 등이 대표적이다. GE·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IBM·RTX·GE버노바·암페놀·이튼·팔로알토네트웍스·크라우드스트라이크·도어대시 등도 이 같은 전략에 적합한 종목으로 거론됐다.

둘째는 탄탄한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공격적 투자를 통해 매출을 확대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라는 조언이다. 이 전략에 적합한 종목으로 마이크로소프트·애플·아마존·오라클 등을 추천했다. 애브비·AMD·앱러빈·우버·서비스나우·아리스타네트웍스·마이크론·보스턴사이언티픽·스트라이커·KLA 등도 유망 종목으로 꼽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