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사랑의 불시착’해 장원급제한 대만댁

입력
수정 2025.10.23. 오전 6:14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글날 휘호 대회 1위 소정여씨

어학연수 중 남편 만나 인천 정착
서예 학원서 한국 문화 빨리 배워
“과거시험처럼 참가… 가문의 영광
한글의 매력을 전 세계에 알릴 것”

‘제16회 광화문 휘호 대회’ 외국인 부문 1위에 오른 ‘대만댁’ 소정여씨가 19일 서울 인사동에서 재현작을 보여주고 있다. 과거 시험처럼 치러진 이 대회는 ‘한글날 세상을 열다’를 주제로 글을 쓰고 조형성·창의성·내용 등을 평가했다./ 고운호 기자

“문화가 완전히 다른 남녀의 사랑이 제 이야기 같아서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을 좋아했어요. 주연 배우 현빈·손예진씨가 실제로 결혼할 땐 정말 기뻤죠. 하지만 K드라마가 한국의 유일한 매력은 아닙니다. 드라마·음악이야 외국에도 있지만, 한글 같은 창제 문자는 한국에만 있잖아요!”

소정여(53·주부)씨는 한글날 한국예술문화원이 주최한 제16회 광화문 휘호 대회에서 외국인 참가자 109명 중 1위에 올랐다. 한국인과 결혼해 인천에서 사는 ‘대만댁’이다. 서울 인사동에서 만난 소씨는 그날 쓴 휘호 ‘하늘 뜻을 받들어 세종이 글자를 열어주시니…’를 들어 보이며 “두루마기 차림으로 왕(세종대왕상) 앞에서 보는 과거 시험 같았다”고 했다.

“완벽한 글씨를 쓰려면 6시간은 걸리는데, 이번 대회에선 2시간 안에 제출해야 했어요. 옛 선비들은 인생을 걸고 치른 시험일 텐데 눈앞이 캄캄했습니다. ‘장원 급제’라니 얼떨떨하지만 가문의 영광이죠, 하하.”

한국에 불시착한 과정도 드라마 같다. 소씨는 2000년 캐나다 어학연수 중 지금의 남편을 만났다. 일본인들 틈에서 유일한 대만인·한국인이라 서로 의지했다고 한다. “남편이 경상도 남자라 감정 표현은 서툴러요. 산책 중에 말없이 손을 잡더라고요. 그때부터 사귀었죠.” 어학연수 후에도 주 2~3회 1시간씩 국제전화를 해 2만대만달러(약 90만원)가 들었단다. “이럴 바에야 같이 살자”며 남편이 청혼했다. 당시 대만 1인당 GDP는 한국보다 높았고 ‘한국으로 시집 가면 맞고 산다는 뉴스를 봤다’며 주변에선 반대했지만 사랑을 어찌 막으랴. 2001년 12월 30일 화촉을 밝혔다.

2000년 캐나다 어학연수 당시의 소정여 씨 부부. /소정여 제공

20여 년 한국 생활에 듣기∙쓰기는 잘해도 말하기는 아직 좀 어색했다. 이날 ‘통역사’로 동행한 딸 이하영(24)씨는 “아빠에게 엄마의 1등 소식을 전하자 ‘네 엄마가? 진짜?’라며 놀라셨다”고 전했다. 소씨는 “중국어로는 ‘1’을 ‘이(一·yī)’로 발음해 아직도 헷갈린다”면서도 “한자보다는 한글이 쉽다”고 했다. “광화문 세종대왕상을 보며 ‘한글은 대단한 업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한자는 그림처럼 생겨 알아보기 어려운데 한글은 얼마나 편해요? 그런데 서예는 한글이 더 어려워요. 한자와 달리 작은 실수도 금방 표가 납니다(웃음).”

서예는 “한국 문화를 빨리 배우는 길”이었다. 대만에서 하던 한자 서예처럼 한글 서예를 익힌 지 10년. 2017년부터 대회에 출전해 입상 경험이 있지만 1위는 처음이다. “대만에 가면 ‘왜 한국처럼 빨리빨리 하지 않나’ 할 만큼 한국인 다 됐습니다. 그럼에도 ‘같이 쓰는 문화’는 익숙지 않아요. 대만은 부모와 자녀가 각방을 쓰고, 수건·컵·그릇도 다 주인을 정하거든요.”

소씨는 최근 필체를 ‘판본체(획이 일정한 글씨)’에서 궁서체로 바꿨다. ‘진지하니까 궁서체’라고들 하는데, ‘획 굵기가 변하면서 아름다워 궁서체’라고 했다. 한글 사랑도 글씨만큼 남다르다. 가장 좋아하는 단어는 ‘빵’이었다. “동글동글 귀엽고 보기만 해도 먹고 싶거든요. 싫어하는 단어요? 한글로 된 욕설은 다 질색이에요.”

서예 작가로 등단해 한글의 매력을 세계에 알리고 싶다고 했다. 사랑 때문에 코리아에 불시착한 ‘대만댁’의 장원 급제 휘호는 11월 18~26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한글갤러리에서 전시한다.

한글날인 9일 광화문광장에서 한국예술문화원 주최로 열린 ‘한글창제 579주년 기념 휘호대회’에 참가한 외국인들이 직접 붓으로 쓴 한글을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