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 운동을 할 때 ‘얼마나 자주 걷느냐’보다 ‘얼마나 많이 걷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의대 브리검 여성병원 연구팀은 하루 걸음 수와 심혈관 질환 및 사망 위험 간 관계를 추적 관찰한 결과를 21일(현지 시각) 국제 학술지 ‘영국 스포츠의학 저널’(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 발표했다.
연구는 심혈관 질환과 암 진단 이력이 없는 여성 1만3547명(평균 나이 71.8세)의 하루 걸음 수와 건강 상태를 평균 11년간 살펴보는 식으로 진행됐다. 이 기간 사망자는 1765명(13%), 심혈관 질환 진단을 받은 사람은 781명(5%)이었다.
분석 결과 하루 4000보 이상 걷는 날이 일주일에 3일 이상인 사람은 하루도 안 되는 사람과 비교해 전체 사망 위험률이 40% 낮았다. 1~2일인 사람의 사망 위험률도 2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역시 하루 이상 걷는 사람이 아예 걷지 않는 사람보다 27% 낮았다. 또 하루 평균 걸음 수가 5000보 이상일 때 사망 위험이 30% 내외, 6000~7000보 이상일 때 32~40%가량 낮아지는 등 걸음 수가 많을수록 더 유리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는 주 1~2회라도 하루 4000보 이상 걸으면 사망 위험과 심혈관 질환 위험이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는 걷기 빈도보다 걸음 총량이 노년층 건강에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더 좋은 걷기 패턴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걸음 총량이 건강의 핵심 요인”이라며 “매일 꾸준히 걷든 한꺼번에 몰아서 걷든 자기에게 맞는 형태라면 사망과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