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밥솥 내솥에서 직접 쌀을 씻는 습관이 반복되면 코팅이 빨리 벗겨져 신장 기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고, 치매 위험까지 높일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강상욱 상명대 화학에너지공학과 교수는 최근 유튜브 채널 ‘의사친’에서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된 내솥은 코팅이 벗겨질 경우 알루미늄이 노출돼 밥을 지을 때 미세한 알루미늄 조각이 용출돼 밥과 함께 섭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알루미늄은 섭취하더라도 대부분 신장을 통해 배출돼 문제가 없지만, 신장 기능이 떨어지면 체내에 돌다가 서서히 축적된다”면서 “특히 뇌에 축적될 경우, 치매와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식약처)에서도 알루미늄 식기를 통해 알루미늄에 노출되지 않도록 산도가 높은 음식은 보관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시판 전기밥솥은 알루미늄 대신 스테인리스 소재를 코팅 처리한 내솥을 쓰는 경우가 많다. 다만 강 교수는 “스테인리스 제품이라고 안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스테인리스 코팅이 벗겨지면 스테인리스가 노출되는데 이 상태에서 요리하면 니켈, 크롬이 나올 수 있다”고 했다. 또 “내솥에서 쌀을 씻는 행위가 코팅이 빨리 벗겨지게 하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강 교수는 “스테인리스 제품의 경우 붉은색을 띠면 그게 부식된 것”이라며 “스테인리스 제품은 세척 후 완전히 건조해서 사용하고 붉은색이 보이면 미련 없이 교체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전기밥솥 내솥을 소모품으로 보고 3~4년 주기로 교체할 것을 권한다. 내솥 수명을 늘리려면 별도 그릇에서 쌀을 씻은 뒤 옮겨 담고, 금속 주걱·철 수세미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대신 스펀지나 극세사 망사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세척 후에는 완전히 건조한 상태로 보관해야 부식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