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경제부총리가 미국이 무역 협상 대가로 우리나라에 요구하고 있는 3500억달러의 선불과 관련 “스콧 베선트 재무 장관은 그게 불가능하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트럼프 행정부 내부에 이를 설득해 달라고 여러 차례 요청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수용할지가 관건”이라고 16일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연차 총회 참석차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 중인 구 부총리는 15일 카운터 파트인 베선트 장관과 회동한 뒤 이날 취재진과 만나 “한국 입장에서는 3500억달러를 선불로 내기가 굉장히 어렵다는 것을 여러 번 설명했고 베선트 장관은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며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나 트럼프 행정부 내부에서 좀 이야기를 해달라고 요청했고 베선트 장관도 충분히 설명을 하겠다고 답변을 했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트럼프 행정부가 현재 우리나라가 일본처럼 3500억달러를 한꺼번에 출자를 못한다는 것은 이해를 하고 있다고 판단이 된다”면서도 “실무 장관들은 이해를 하고 있는데 이것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얼마나 설득을 해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걸 수용하느냐가 중요한데 그 부분은 불확실성이 있다. 우리도 장담을 할 수가 없다”고 했다.
일각에서 3500억달러를 10년 분할 투자하거나 원화로 투자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는 관측과 관련 구 부총리는 “구체적인 내용은 사실 확인을 좀 해봐야 할 것 같다”며 미국이 한국에 대두 수입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협상 과정 중이라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가 왔다 갔다 하는 것이고 상황에 따라서 좀 달라질 수도 있다”고 했다.
구 부총리는 한미 양국의 무역 협상을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이전 마무리 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미국도 긍정적으로 노력하고 있지 않느냐 보여진다”며 “우리도 가능하다면 국익의 관점에서 APEC 계기에 마무리하는 게 좋겠다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구 부총리는 “한미 협상이 마무리 되면 자동차 관세율이 25%에서 15%로 낮아지고 반도체나 제약에 대해서도 최혜국 대우를 해준다고 미국이 약속했기 때문에 APEC 계기를 활용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조선일보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
QR을 촬영해보세요. AI부동산, 나에게 딱 맞는 부동산 정보
-
QR을 촬영해보세요. 광고 안 봐도 되는 큐브 스도쿠로 스트레스 싸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