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집 있는 김병기 “빚내 집 사는 건 비정상”

입력
수정 2025.10.17. 오전 11:10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역풍 맞는 與]
여당, 부동산 ‘내로남불’ 논란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6일 이재명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을 두둔하면서 “수억, 수십억 원 빚내서 집을 사는 것은 정상이 아니다”라고 말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발언 직후 국민의힘은 35억원짜리 서울 송파구 잠실 장미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는 김 원내대표를 겨냥해 “대출 한 푼 없이 전액 현찰로 재건축 노린 아파트를 샀나”라며 맹비난했다. 인터넷에서도 김 원내대표를 향해 “내로남불” “본인이 하면 투자고, 국민이 하면 투기냐” 등의 비난이 쏟아졌다.

뉴스1국민의힘 배현진(왼쪽에서 셋째) 서울시당 위원장과 서울 지역 당협위원장들이 16일 국회에서 이재명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반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정부가 청년과 무주택 서민들의 ‘내 집 마련 꿈’에 족쇄를 채웠다”고 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당 회의에서 “불법 투기 행위를 철저히 막고, 빚 없이도 집을 살 수 있는 시장을 만들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대책 발표 직후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며 “부동산에 묶였던 자금이 산업 투자로 흘러가면 국가 성장의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고도 했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으로 거래 절벽이 생기면 그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흘러갈 것이란 얘기다.

전날 정부가 발표한 부동산 대책은 서울·경기 초광역 규제, 갭 투자 원천 봉쇄, 대출 옥죄기라는 ‘3중 규제’가 골자다. 이에 김 원내대표는 “일각에서 아무런 근거 없이 주거 사다리를 걷어찼다고 비난하지만 투기 수요를 막은 것이지 실수요자의 문을 닫은 것이 아니다”라고 했다.

이 직후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는 김 원내대표를 직격했다. 그는 페이스북에 “‘우리는 이미 다 샀다, 이제부터 너희는 못 산다. 원래 세상은 불공평하니 억울하면 부자 돼라’고 국민에게 말하는 것이냐”며 “재건축 노리는 송파 장미 아파트를 대출 한 푼 없이 전액 현찰로 샀나”라고 했다. 지난 3월 공개한 재산 내역에 따르면 김 원내대표는 서울 송파구 잠실에 35억원에 이르는 재건축 장미 아파트(45평형)를 보유하면서, 2016년부터 전세로 지역구인 서울 동작구 아파트(전세권 11억원)에서 거주하고 있다.

인터넷에선 비난이 이어졌다. “당신이나 장미 아파트 팔고 주식 사면 될 게 아닌가” “한강 뷰 더블 역세권 아파트 가진 분이 다른 사람은 집 사지 말라고 막는 것” 등이다. 금태섭 전 민주당 의원도 “이 정부의 고위 공직자나 여당 지도부 정도는 실거주하지 않는 집을 팔아서 삼성전자 주식이라도 사야 하는 것 아니냐”라고 했다.

논란이 커지자 김 원내대표는 잠실 아파트에 대해 “(직전까지 거주했던) 아파트를 판 돈과 아내가 알뜰살뜰 모은 돈으로 샀다”며 “13년간 실거주했으니 갭 투자와 거리가 멀다”고 반박했다. 1998년 송파구 잠실 아파트를 처음 구입했고, 2003년 같은 아파트 다른 동으로 이사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 아파트에 13년간 살다가 2016년 총선이 있던 해에 동작구로 이사했다. 여기선 집을 사지 않고 전세로 살았다.

야당은 “실거주하지 않으면서 35억원짜리 아파트를 소유한 것이 바로 민주당이 말하는 ‘투기’”라고 공세했다. 국민의힘 김재섭 의원은 “국민의 주거 사다리는 박살 내 놓고, 동작구 국회의원이 알뜰살뜰 모은 돈으로 (지역구가 아닌) 송파에 30억원 넘는 아파트를 사 놓은 게 자랑이냐”고 했다.

국민의힘은 대통령실 참모들도 비판했다. 박정훈 의원은 “권혁기 대통령실 의전비서관은 서초동 26억5000만원짜리 아파트를 14억7000만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 대출받아 집을 샀다던데, 권력자들만 집 사고 일반 국민은 서울에 집 사지 말라는 말이냐”고 했다.

민주당에서도 김 원내대표의 발언을 악재로 보고 있다. 이번 부동산 대책으로 규제 지역에 묶인 서울 25구 전체와 경기도 12곳을 지역구로 둔 민주당 의원은 52명(서울 36명, 경기 16명)에 달한다. 민주당은 공개적으로는 “이번 대책으로 집값이 안정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내년 6월 지방선거 서울·경기 출마자들은 “선거를 하라는 거냐 말라는 거냐”며 속앓이를 하고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