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비수도권 첫 팹리스 인력 키운다
2026년부터 연간 100명 양성
부산시가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상공업계와 공동으로 ‘반도체 설계(팹리스)’ 인력 양성에 나선다.
팹리스는 반도체 제품 생산은 하지 않고, 반도체 설계를 전문적으로 하는 회사 및 인력을 통칭한다.
부산시는 22일 시청에서 대한상공회의소, 한국팹리스산업협회, 한국전력소자산업협회와 ‘부산 팹리스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부산 팹리스 아카데미’(BFA)의 성공적인 운영이다. 내년부터 시범사업을 통해 연간 100명의 팹리스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장기적으로 부산에 반도체 설계 클러스터 조성과 지원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대한상의 부산인력개발원에서 관련 학과 재학생과 취업 준비생을 대상으로 연 900시간(6개월 내외)에 걸친 실기 중심 반도체 설계 훈련을 실시한다.
시는 팹리스 인력 양성과 기업 유치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담당하고, 대한상의는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운영 및 교육생 모집·선발·관리를 맡는다. 한국팹리스산업협회와 한국전력소자산업협회는 기술자문과 채용연계, 기업유치 협조 등의 역할을 맡는다.
시는 부산 반도체 산업의 취약점인 반도체 설계 역량을 강화해 ‘설계-생산-인증’으로 이어지는 반도체 전주기 생태계를 완성할 계획이다.
또 산업 수요 맞춤형 반도체 설계 교육의 비수도권 성공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향후 확장된 형태의 교육체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반도체 설계 역량을 강화해 반도체 전주기 생태계를 완성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기자 프로필
세계일보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3
세계일보 헤드라인
더보기
세계일보 랭킹 뉴스
오후 5시~6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