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부분 합의 없다”… 관세협상 ‘막판 스퍼트’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정관과 귀국 이틀 만에 다시 방미
“남은 한두 가지 쟁점 타결안 만들 것
MOU 전체 한·미 양국 합의해야 마무리”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한·미 관세협상 막판 후속조치를 위해 22일 다시 방미 길에 올랐다. 김 실장은 이번 방미에 대해 “(협상이) 완료되면 통상 분야와 잠정적으로 합의된 성과들도 발표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밝혀 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오른쪽)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2일 한미 관세 협상 추가 논의를 위해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실장은 이날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많은 쟁점에 대해 양국 간 이견이 많이 좁혀졌으나 아직 한두 가지 팽팽하게 대립하는 분야가 있다”며 “남아있는 한두 가지 쟁점에 대해 우리 국익에 맞는 타결안을 만들기 위해 이틀 만에 다시 나가게 됐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간 합의문이 도출될 수 있냐는 질문에는 “만약 이번에 통상 MOU 등에서 (협상이) 완료되면 통상 분야도 발표할 것이고, 지난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에 잠정적으로 합의된 성과들이 많았는데 그 성과들도 한 번에 대외적으로 발표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답했다. 김 실장은 “지난번 통상 분야 협상이 마무리되지 못한 것이 다른 분야까지 잠정적으로 보류된 결과로 이어졌다”며 “이번에 통상 분야에서 양국 이익이 합치되는 방향으로 협상이 마무리될 수 있으면 그런(합의문 발표) 결과도 예상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김 실장은 “협상이라는 게 상대방이 있고 시시때때로 상황이 바뀌기 때문에 미리 예단해서 말하긴 어렵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일각에서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를 계기로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미가 일부 쟁점을 제외한 합의문이나 양해각서(MOU)에 서명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선 김 실장은 그런 방안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김 실장은 “7월31일 양국 간에 타결한 안을 실행할 수 있는 MOU 전체에 대해 양국이 합의해야 성과물로 마무리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방미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김 장관은 “러트닉 장관을 만난다”며 “마지막 1분1초까지 국익이 관철되는 안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