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의원에 따르면 현재 대구시 지하도 상가 중 반월당 지하도상가는 상권이 안정적으로 형성했지만, 봉산·두류 지하도상가는 각각 17%, 27%의 높은 공실률을 보인다.
|
윤권근 대구시의원. 대구시의회 제공 |
이에 윤 의원은 △침체 상가에 대한 입찰 자격·조건 완화 △공실 점포 청년 창작·문화공간 활용 △보행자 편의시설(에스컬레이터 등) 확충 △설비가 갖춰진 상가를 중심으로 한 요식업 업종 지정 등을 제안한다.
특히, 두류 지하도 상가는 인근에 학교와 신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며 유동 인구가 늘고 있지만, 보행 편의시설은 턱없이 부족해 접근성이 떨어진다. 점포별 업종 제한 기준도 없어 예비 상인들의 입점 기회가 제한되는 문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윤권근 의원은 “두류 네거리 일대는 도시철도 5호선과 대구시 신청사 건립 등으로 향후 대구의 핵심 중심지로 성장할 지역”이라며, “대구시는 두류 지하도상가가 새로운 지역 상권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제도 개선과 환경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