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최근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킹 플랫폼 '링크드인'을 통해 대만 타이중 지역의 팹(공장)에서 일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엔지니어들의 경력 채용을 진행 중이다. 대만 공장은 마이크론의 최대 D램 생산기지로 HBM도 이곳에서 만들어진다.
|
사진=AFP연합뉴스 |
마이크론이 제안한 임원급 직무의 연봉은 회사 내부 직급에 따라 차이는 있다. 업계에선 최대 2억원대(보너스 등 포함)로 추정한다.
오퍼를 받은 한 엔지니어는 "지난해 경력 면접에 합격하지 못했는데 이번에 다시 제안이 왔다"고 전했다.
마이크론은 반도체 엔지니어뿐 아니라 한국에 지사를 둔 외국계 반도체 장비업체, 디스플레이 업계 직원들에게도 이직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
마이크론 로고. 연합뉴스 |
또 비슷한 시기에 국내 주요 대학에서 '당일 채용(사전 지원자 대상)'이라는 파격 조건까지 걸고 채용 설명회를 진행하기도 했다.
올해 초에는 일본 히로시마 공장에서 일할 한국 엔지니어를 모집했으며, 미국과 싱가포르 공장에서 근무할 직원도 채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마이크론의 공격적인 행보는 현재 증설 중인 글로벌 거점 팹의 인원 충원과 D램에서 우위에 있는 한국 업체들의 엔지니어를 통해 HBM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의도다.
|
마이크론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 'HBM4' 이미지. 연합뉴스 |
대만은 물론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에 HBM을 포함한 D램 생산 거점 구축 및 증설에 나선 상태다.
수익성이 높은 HBM이 회사의 주요 매출원으로 부상한 데다 시장이 계속해서 커지고 있는 만큼, 전사 역량을 HBM에 집중시키는 모습이다.
한편 HBM 시장에서 막강한 지배력을 가진 SK하이닉스는 메모리 3사 중 가장 먼저 HBM4 양산 준비를 마치고 엔비디아와 막바지 물량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최근 엔비디아와 HBM3E 공급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HBM4 공급을 위한 인증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