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14일 오후 시청 회의실에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부산도시공사, 사회복지법인 광애원과 ‘부산도시공사 생활돌봄서비스’ 선도모델 사업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
| 정태기 부산시 사회복지국장(왼쪽 다섯 번째)이 14일 오후 부산시청 회의실에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부산도시공사, 사회복지법인 광애원 관계자와 ‘부산도시공사 생활돌봄서비스’ 선도모델 사업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
협약을 통해 부산시는 사업 추진 수행기관 선정 및 관리와 사업 관련 행정 지원을 하고,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사업계획 수립 및 관리, 선도모델 예산지원을 한다. 또 부산도시공사는 임대단지 선정, 수혜가구 모집, 주거환경 개선 물품 등을 지원하고, 광애원은 참여자 고용 및 직무교육, 근태관리, 점검(모니터링), 성과측정 등을 맡는다.
부산도시공사 생활돌봄서비스는 올 연말까지 부산 사하구 다대4지구 영구임대아파트에서 시범 운영된다. 신규 모집된 노인일자리 참여자가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신규 노인일자리 참여자로 선정된 부산시 거주 60세 이상 어르신 20명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참여자는 13시간의 직무교육을 이수한 후 2인 1조로 독거노인 60가구를 주 1회 방문한다.
주요 서비스는 △어르신 안부 확인 및 건강상태 점검 △거동 불편 어르신 대상 재활용품(폐플라스틱 등) 분리배출 지원 △화재감지기 설치, 전등 및 콘센트 교체, 소방안전 점검 등 주거환경 개선이다.
시는 올해 시범사업을 통해 대상 가정의 만족도 등 서비스의 실효성이 확인되면, 내년부터 부산 전역으로 서비스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또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부산도시공사, 광애원과 협력을 통해 노인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도모하고, 지역 복지 체계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할 방침이다.
시는 이번 사업이 단순한 돌봄을 넘어, 독거노인의 안전과 건강을 함께 돌보는 예방적 복지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형준 시장은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들에게 더욱 촘촘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노인일자리를 창출해 어르신들의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민·관이 공동으로 협력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