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의 서해 접근 차단 분석도
서해상 中관측부표 13개로 늘어
중국 해양경찰이나 공공기관 소속의 선박이 최근 수년간 제주 서남방 해상에 있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인근에서 포착됐다. 대만 문제를 놓고 미·중 무력충돌 우려가 커지면서 전략적 가치가 높아진 서해에 미군이 접근하는 것을 저지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임종득 의원이 9일 해군본부와 해양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9월까지 중국 해경선 또는 관공선이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인근에 출현한 횟수는 11회다. 2021년에는 7회, 2022년과 지난해에는 각 2회씩 모습을 드러냈다.
|
중국해에서 훈련 중인 중국 해양경비대의 선박들이 항해하는 모습. 신화연합뉴스 |
중국이 서해에서 일방적·적극적 행보를 취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해양 권리 행사 범위를 확대, 서해를 내해(內海)로 만들어 자국 군대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고, 이를 통해 미군의 중국 본토 연안 접근을 저지하는 ‘바다의 만리장성’을 서해에 구축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