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국립전통예고 채용·입시 비리 수사 착수

윤준호 기자 TALK
입력
수정 2025.09.24. 오전 7:00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경찰, 학교 관계자 공집방해 혐의
교사 채용실기·신입생 청탁 조사
문체부, 예산 유용 등 감사 시행


경찰이 국립전통예고 내부 비리 고발과 관련해 정식 수사에 착수했다. 상급기관인 문화체육관광부도 자체 감사에 나섰다.

23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반부패수사대는 이 학교의 채용과 입시 과정에서 비리가 있었다는 고발과 관련해 학교 관계자를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17일 입건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수사규칙’은 입건을 “범죄 혐의가 있어 수사를 개시하는 경우”라고 규정하고 있다. 앞서 반부패수사대는 지난달 서울 금천경찰서로부터 이 사건을 넘겨받아 입건 전 조사(내사)를 진행해 왔다.
국립전통예술고 홈페이지 캡처.
경찰은 특히 최근 5년 사이 있었던 정교사 채용 실기와 신입생 입학시험에서 부정한 청탁이 있었다는 의혹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고발 내용에 따르면 국악계 인사이자 학교 전 동문회장은 교사 채용 실기 심사위원으로 참석해 다른 심사위원들에게 졸업생인 특정 지원자의 점수를 높게 주도록 종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인적사항을 알 수 없는 ‘정보 가림(블라인드)’ 시험이었지만 가림막을 걷어 얼굴을 확인하고 다른 심사위원들에게 ‘점수를 높게 줘야 하는 지원자’를 알려주는 식이었다. 당시 교장 역시 심사 전에 심사위원들에게 전화해 ‘전 동문회장이 무언가 언질을 줄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이와 관련해 당시 심사위원으로 참석한 이들의 진술을 확보했다. 다만 전 동문회장과 교장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교사 일부가 신입생 선발고사에서 외부로부터 청탁받아 합격자와 불합격자를 사전에 조율했다는 혐의도 수사 대상이다. 학교는 당시 심사위원으로 사건과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는 시간강사에 대한 계약을 지난달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 이 강사는 개인 사정으로 그만두겠다는 의사를 학교에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문체부는 최근 이 학교를 대상으로 감사에 착수했다. 문체부는 경찰에서 수사하는 두 가지 사안 외에도 ‘학교가 악기 구매 등에 예산을 부적절하게 사용했다’는 의혹도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