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가 전부 아니다…“금융권서 해킹사고 올해만 8건”

곽선미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롯데카드 고객 297만 명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을 비롯해 올해만 금융권에서만 8건의 해킹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국내 금융업권 해킹 발생 현황’ 자료와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금융권 해킹 사고는 총 8건이었다.

아이엠뱅크(2월 28일), 케이비라이프생명(5월 16일), 노무라금융투자(5월 16일), 한국스탠다드차다드은행(5월 18일), 하나카드(6월 17일), 서울보증보험(7월 14일), 약사손해보험(8월 3일), 롯데카드(8월 12일) 등에서 해킹 사고가 발생했다. 기존에 알려진 일부 사건 외에도 크고 작은 침해 사고가 이어진 셈이다.

법인보험대리점 2곳 개인정보 유출(4월), 웰컴금융그룹 계열사 웰릭스에프앤아이대부(8월) 등 금융당국의 직접 관리·감독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사고까지 감안하면 실제 규모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

2020년부터 지난 달 말까지 발생한 해킹 사고는 총 31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20년 8건, 2021년 5건, 2022년 1건, 2023년 5건, 지난해 4건이었다. 해당 해킹 사고로 유출된 정보는 총 5만1004건이다. 이로 인한 배상 인원은 172명, 배상금액은 2억710만 원이었다.

공격기법별로 보면 서비스 거부 공격이 13건(41.9%)으로 가장 많았으며 악성코드와 보안취약점 해킹(각 7건), 무단접속 및 조작(1건) 등 순이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