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자료사진 |
박형준 부산시장이 최근 10·15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 “대한민국 전체를 보고 왜 서울로만 수요가 몰리고 또 집값이 서울만 오르는가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종합적인 정책이 나와야 한다”면서 “사실 지금 서울 부동산은 배불러 죽을 지경이고 지방 부동산은 배고파 죽을 지경이다”라고 말했다.
23일 박 시장은 채널A 라디오쇼 ‘정치시그널’에서 “지방에 있는 부자들이 다 서울에 집을 가지려고 그러니까 서울의 수요는 대한민국 전체의 수요를 지금 끌어들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이걸 분산시킬 방법을 함께 강구해줘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박 시장은 “이것이 결국 돈이 많이 풀려서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니 그 돈의 상당 부분을 지방 부동산이나 건설 쪽으로 옮겨가도록 하는 게 구조적이고 근원적인 대책”이라면서 “그런 건 하나도 강구하지 않으면서 대증 요법으로 수요 규제를 하려고 하니까 성공할 수도 없고 많은 사람들이 실질적인 피해를 보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시장은 “이번에도 집을 사려고 했던 사람, 지금 막 집을 팔려고 했던 사람들은 전부 피해를 보게 됐다”면서 “피해 보는 사람들은 당장은 여론조사에서 크게 안 나타나지만 굉장히 큰 분노와 울분을 갖게 되니까 부정적인 민심이 구조화된다. 그래서 그런 면에서 굉장히 저는 악수를 뒀다고 생각하다”고 덧붙였다.
국정감사에서 나타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논란과 관련해서는 “해운기업이라든지 관련 지식 생산 서비스들이 결집이 돼야 부산을 싱가포르나 홍콩, 암스테르담, 두바이, 이런 도시로 키울 수 있다”면서 “그래서 해수부만 내려오면 되는 게 아니라 해수부, 산업은행과 같은 금융기관, 해운기업들을 비롯한 해양 관련 기업과 싱크탱들, 공공기관들이 결집을 해야 그 효과가 커지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