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에서 구금됐다 한국으로 송환된 한국인들. 연합뉴스 |
국내에서 구직자를 모집해 캄보디아 범죄조직에 넘겨온 30대 남성이 “구속되기 전 캄보디아에서 겪은 일을 다 풀고 가겠다”며 1명당 100달러(14만~28만 원)에 가까운 수고비를 받았다고 말했다. 월수입은 적게는 500만원, 많게는 1000만원에 달한 적도 있다고 전했다.
인신매매 등 혐의로 경찰 조사를 앞두고 있다는 A 씨는 지난 20일 한 유튜브 채널과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방송에 따르면 A 씨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캄보디아 범죄조직 운반책으로 활동했다. A 씨의 역할은 국내에서 구직자를 모집해 캄보디아로 데려다주는 것었다고 한다. A 씨는 “처음엔 조직에서 항공권을 끊어주고 알아서 오라는 식이었는데 항공권만 받고 도망가는 피해자가 있었다. 그래서 저 같은 운반책을 둬 국내에서부터 동행하게 했다”고 전했다.
특히 A 씨 매달 3~4회씩 국내에서 총 1000여명을 캄보디아로 데려갔다고 했다. 수고비로는 남성 기준 인당 100~200달러, 여성 기준 300~500달러까지 받았다고 한다. A 씨는 여성 운반에 더 높은 수고비를 받은 이유에 대해 “여자는 로맨스스캠(연애 빙자 사기)을 위해 필요하다. 여자가 없는 시기에는 남자 대비 수고비를 다섯 배까지 주기도 했다”고 말했다.
A 씨는 “한번 (캄보디아로) 나가면 5~10명씩 데려갔다. 많이 나갈 때는 일주일에 한 번씩 나갔다. 한 달에 못해도 500만~1000만원은 벌었다”고 강조했다.
A 씨는 범행에 가담한 배경에 대해 “저는 여행을 갔다가 현지에서 (범죄조직을) 알게 됐다. 같이 몇 번 술을 마시다 보니 친해졌는데, (보이스피싱에) 관심 있는 친구가 있으면 소개해달라더라. 그게 시작이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A 씨는 자신은 운반책이었을 뿐 감금·고문 사실 등은 알지 못했다고 항변했다. A 씨는 “불법적인 일을 하는 것까지는 알았는데, 피해자 10명 중 8명이 연락이 안 돼 수소문해봤더니 그런 일이 있다고 들었다. 사람이 죽는 걸 알았으면 돈을 더 받았지, 100달러만 받진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A 씨는 현재 범죄로 번 돈 모두 가상화폐 등에 탕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A 씨는 2020년 결혼하면서 범죄조직을 탈퇴했으며 현재 기초생활수급자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