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홍준, 박물관 ‘유료화’ 여부에…“시점·방식 놓고 검토 중”

박준우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정감사서 유료화 필요성 인정…“관람객 수 유지가 향후 과제”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상설 전시 유료화 여부와 관련해 “유료화 시점과 방식을 여러 가지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 관장은 22일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물관의 입장료 정책을 묻는 더불어민주당 이기헌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 2008년 5월부터 해외 주요기관이나 민간 단체들과 협력해 주관하는 기획 전시를 제외한 상설 전시관을 무료로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 연간 관람객이 처음으로 500만 명대를 넘어서면서 적절한 관람 환경을 유지하려면 무료 정책을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유 관장은 취임 직후 열린 간담회에서 “국민적 동의를 받아 논의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전제하면서 “어느 시점에 가서는 (유료화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유 관장은 ‘박물관 (상설 전시를) 무료로 운영하는 게 옳다고 생각하냐’는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유료화하는 것이 맞다”는 뜻을 내비쳤다.

유 관장은 박물관·미술관 유료화 문제를 둘러싸고 여러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가장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안을 제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 숫자(최근 관람객 수)를 어떻게 떨어뜨리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지도 과제”라면서 각국 사례를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유 관장은 관람객은 증가했지만, 시설을 관리·운영하는 인력은 늘지 않았다는 지적에는 “캐파(규모)가 커지면 예산과 인력이 동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관계부처와 협력해서 업무에 차질이 없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박물관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 20일까지 박물관을 찾은 관람객은 510만3709명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연간 관람객이 500만 명 대를 넘어선 것은 1945년 박물관(당시 국립박물관)이 개관한 이후 처음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